표 4 주요 사업 및 흐름

1대 포교원 (1994 – 1995)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포교청사진 제시, 포교사제도 정비, 신도교육체계화와 신도등록사업, 중앙신도회 결정, 포교 종무행정체계 구축
2대 포교원 (1995 – 1999) 청소년포교 활성화와 파라미타 창립, 신도등록 및 재적사찰 갖기 운동 신행활동 체계화 및 신도교육, 신도교재 발간, 포교행정 체계화
3대 포교원 (1999 – 2001) 새로운 조직과 단체 건설, 신도교육 체계 수립, 포교의 새로운 방향 정립
4대 포교원 (2001 – 2006) 신도교육 정착 및 교재 발간, 군불교 진흥과 군종교부 설립, 템플스테이의 성공적인 운영과 정착, 해외포교 관심 제고, 온라인포교 확대, 조계종 포교비전 발표, 각종 포교 현황조사 실시,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
5대 포교원 (2006 – 2011) 어린이청소년포교 3개년 사업의 추진과 회향, 포교결집대회, 대한불교조계종 전법단 출범과 전법중심도량제도 시행, 멤버십 신도증 발급과 신도조직화 체계 개편, 신도교육기관 교과정 및 개편, 전문포교사 및 각종 포교자격제도 시행, 상담포교를 위한 불교상담대학·대학원 설치, 온라인 교육과 포교를 위한 디지털대학 설치, 새로운 신도조직 창립과 포교역량 결집, 포교프로그램 연구 개발, 이주민 포교
6대 포교원 (2011 – 2016) 지역포교 활성화 지원, 우리말 의례 개발 및 보급, 층별 일상 활용 콘텐츠 개발 및 보급 심성 개발(인성프로그램 및 포교콘텐츠 개발과 보급,),
국제전법단, 어린이청소년 전법단 창립 및 청년대학생 전법단 조직 통합 지원, 전국 경승 조직화 및 현황파악, 경찰 전법단 연계 매년 전국경승 연수개최 정착, 종단 신도품계제도 시행기반 구축, 신도전문교육기관(불교대학) 전국 교구본사별 개설운영(총135개소 운영), 신도지도자교육과정 개설 및 제 1기 선혜품계 품수자 배출, 교구신도회 조직완비(전국 교구본사별 교구신도회 창립 및 운영), 종단 신도조직체계정비(2015년 신도법 전부개정)
7대 포교원 (2016 – 2021) 신행혁신운동, 불교성전편찬, 우리말 의례, 신도수행프로그램 개발, 계층별 마음거울, 뉴미디어 포교콘텐츠 개발 및 보급, 신도교육기기관 학사관리 전산시스템구축, 포교단체 지원 및 활성화, 전법단 운영, 공공영역참여 솔루션 개발, 포교지도 구축
출처: 포교원(2011, 2015,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