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법화경』과 『화엄경』에서의 보살의 의미 비교

『법화경』 『화엄경』
중심사상 일승사상, 제법실상, 구원실성과 석가본불사상 여래출현, 일승보살도, 법계연기
보살의 개념 - 누구나 부처와 같이 깨달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 시점- 삼승이 융합되어 일승을 향해 보살도를 실천하는 자 - 자신이 부처임을 확실히 믿는 시점- 이미 깨달음을 얻은 오도(悟道)의 보살로 법의 문에서 보살행으로 불화엄 세계를 장엄하는 자
보살도 깨달음을 구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구도의 보살 실천 행위 발심한 후의 보살행은 부처의 행위
관음 사상 - 일승을 향한 자비를 실천하는 대보살- 고통에서 구제해주는 현세 구원자- 소원을 성취시켜주는 귀의와 신앙의 대상 - 이미 깨달음을 얻은 오도 보살- 불화엄의 대비행의 문에 머무르며 보살행을 시설하는 법신보살- 주(住): 사섭법을 실천하는 화신보살- 수(修): 수행 공덕으로 공포를 여의게 하는 보신 보살- 단(斷): 모든 악과 번뇌를 끊어 중생의 해탈문을 돕고 구원해 주는 법신보살
관음의 대표적인 삼신불 화신불(33 응신) 법신불
관음의 특징 - 명호에 대한 문명과 칭명 시 반드시 응답- 중생의 근기에 맞게 변화하여 나타나는 변화신 보살의 주·수·단의 실천행법 시설
관음보살도의 실천적 의미 대자대비, 방편교화, 신심 (귀의, 예배) 자리이타, 대자비, 십바라밀, 사섭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