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론:
Received: Sep 09, 2009; Accepted: Nov 13, 2009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이 글은 붓다를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에세이다. 물론 이 글이 의존하고 있는 철학적 사조는 존재론이고 해체주의적 경향을 말한다. 여기서 말한 존재론은 소유론에 대비한 존재론이고, 해체주의는 진리를 발견하고 구성하기 위한 기존의 철학 방법론적 사고방식에 대하여 완전히 전도된 입장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붓다론은 철학적 가치론을 옹호하기 위함이 아니다. 철학적으로 가치론은 늘 어떤 가치를 옹호하고 주장하기 위한 소유론의 일종이라고 읽어도 무방하겠다. 정신적 가치를 결정하여 그것을 옹립하고 옹호하는 것은 그 가치를 소유하려는 정신적 태도를 말한다. 우리가 도덕적 가치를 옹호하는 것은 그 가치의 소유를 의미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모든 가치론과 그 도덕론은 다 정신적 소유론의 입장과 유사하다. 그런 점에서 붓다는 인간에게 어떤 정신의 가치를 소유하라고 역설하는 그런 가치론을 주장하지 않았다고 불 수 있다. 그러므로 붓다의 교설은 어떤 가치로서 이 세상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그런 의미를 역설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붓다의 사상은 세상을 새로운 가치의 발견으로 새 세상을 만들어야 하다는 당위의 설법이 아니고, 도덕윤리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거듭 주장하는 당연의 원칙을 설파하는 것도 아니다. 붓다의 주장은 세상을 도덕적으로 개조하자는 주장도 아니고, 타기해야 할 허위의식을 버려야 한다는 준칙을 세상에 반포하는 것도 아니다. 이런 모든 주장은 다 소유의식의 잔재에 해당한다. 붓다의 교설은 철두철미 존재론적 사고방식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론은 반(反)소유론적 마음의 태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재래의 가치철학은 이 가치의 소유에서 저 가치의 소유에로 소유개념의 이전을 의미하는 것에 불과하다 하겠다. 철학적 도덕론은 가치소유의 한 관점을 역설하는 소유론에 불과하다. 그런 소유론은 철학적 진리론의 한 장르로서의 구성주의의 세계관과 다르지 않다.
붓다의 가르침은 철두철미하게 존재론의 차원에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재래의 존재자적 형이상학의 차원으로 읽혀져서는 곤란하다. 존재자적 형이상학은 모든 존재를 명사적 존재자로 해석하여 동사적 행위와 같은 존재를 명사적이고 실체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자로 여기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는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와 존재자를 엄밀히 구분하는 의미로 읽혀져야 한다.
존재는 존재자와 달리 의미의 가치 고유소를 지니고 있지 않다. 존재는 무(無)와 마찬가지로 자기 의미를 전혀 갖고 있지 않으나, 무(無)와의 직관적 인 차이를 노정하는 기호일 뿐이다. 즉 기호는 자기 의미를 갖는 개념적 의미와 달라 단지 다른 기호와의 차이를 띨 뿐이다. 무(無)가 없으면, 존재는 이해되지 않는다. 존재가 없다면, 무(無)도 직관되지 않는다. 존재와 무(無)는 생멸의 행위와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존재는 무(無)와 같은 차원에서 순간적 행위라고 읽을 수밖에 없다. 존재는 실체로서 명사적 개념으로 잡히는 존재자와 달리 존재하려는 욕망의 순간적 표현과 같다. 붓다는 이 우주를 존재론적으로 관찰하였고, 그 우주의 존재론은 존재하려는 삼라만상의 욕망과 같다고 읽었다. 즉 삼라만상은 생멸하고, 그 생멸은 곧 공(空)으로부터 치솟는 공의 파도와 같다. 존재는 욕망의 치솟는 행위에 불과하다. 한국불교는 욕망을 너무 소유론적으로 읽는다. 이것은 시정되어야 한다. 삼라만상은 존재하려는 욕망을 선천적으로 띤다. 이것이 자연의 법이다. 욕망은 존재와 소유의 경계에 처해 있다. 붓다의 가르침은 욕망을 지능적 소유로 해석하려는 인간의 오랜 습관을 버리고, 본능적 자연의 존재방식으로 치환할 것을 요구하는 사상이다.
Abstract
This is a philosophical essay for understanding Buddha. The philosophical thought on which it is depending is deconstructive and ontological. Ontology talked here is contrary to possessionism (that is to say having), and deconstructionism signifies the attitude perfectly different and inversive from all kinds of philosophical mentality tenaciously conserved through its history. Philosophically my essay is not to defend any value whatever it is. As a matter of fact, the theory of value would be interpreted as a kind of having consciousness, because that theory is made for defending having and justifying it. For to stand for a certain spiritual position is to help occupying a place favorable for having the spiritual value. The case being so, all kinds of value and its morality represent the attitude to maintain positively their having in the deep bottom of the unconscious.
So we can affirm that Buddha has not proclaimed to human being to have a certain value. At the same time, we can say he has not taught us to try to construct our world on our new ideas. Buddha's main teachings do not consist in the fact that we should remake the world by our new brilliant ideas. His affirming ideas neither consist in reconstructing the world on moral ideology, nor in abandoning false consciousness. All these correspond to some residues of having-consciousness.
Buddha's mention corresponds essentially to the way of ontological thinking. This means an anti-having's mental attitude. Therefore traditional theory of value points out no more than a simple space-moving from having this side of value to having that side of value. We should like to say Buddha's teaching must be understood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This means that if we try to interpret metaphysically and ontologically his mention, we would not be able to attain him correctly. Ontological metaphysics consists in misunderstanding Being(Sein) as entities(Seiendes) in the Heidegger's sense of meaning. Ontological or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different from ontological thinking is like to think Being as something substantive or individualistic. Our affirmation should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Heidegger's philosophy. Being different from entities does never have any property of significance. Being as well as nothingness does not in the least have any meaning come from itself. But Being does show itself intuitively to be different from nothingness. Conceptually Being is not different from nothingness, because Being is conceptually at the same dimension as nothingness; they don't have any meaning. They are no more than the signs in semiotics. Sign does not have its own proper meaning on the contrary to the concept, but shows up difference only in the relation with the other signs.
Without nothingness, Being cannot be understood. Likewise nothingness is not able to be intuitive without Being. Being and nothingness are not different from the acts coming out of life and death. Being as well as nothingness cannot be read otherwise than instantaneous acts. Being, apart from the substantive entities taken as concept, is like instantaneous expressions through which Being is desiring to show itself up into existence. Buddha has observed this cosmos ontologically, and his ontology has read Being like an immense filet de désirs which are eager to exist.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live and die; such living and dying are like waves existing from sunyata. Being is no more than act of desire existing from sunyata.
Korean Buddhism is in general reading too much desire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This point of view should be revised.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show up apriori the desire eager to exist. It is the law of the universe. Desire exists between Being and having. The teaching of Buddha lets us abandon traditionally old-fashioned and accustomed way of thinking which has wanted to see and confine desire under the chain of having. And this teaching has not been congruous with human history in which desire has been widely interpreted on the dimension of intellectual having. The case being so, Buddhism thinks that, in affronting with our world lead until now by intellectual power of having, the world should have been in the future replaced by natural power of Being. The moment when such a replacement would happen in the future is a moment when man will be detached from the ignorance which has yoked him under the total obsc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