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연구원
본교는 대한불교조계종의 승가교육기관으로서 불교학 및 불교와 관련된 제반 학문분야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미 교내에는 여러 연구기관이 있지만 활발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심점이 되는 연구기관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불교학을 중심으로 관련 학문분야를 포섭할 수 있는 연구기관으로 불교학연구원이 설립되었다.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of Basic Income through Buddhist Sangha:
불교 승가를 통해 본 기본소득의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불교 승가를 통해 본 기본소득의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J. Buddh. Soc. 2021;13(2):116-149.
https://doi.org/10.33521/jbs.2021.13.2.116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33521/jbs.2021.13.2.116
Jinul’s Theory on the Practice of Pure Land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 『권수정혜결사문』 제7문답을 중심으로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 『권수정혜결사문』 제7문답을 중심으로
J. Buddh. Soc. 2021;13(2):186-225.
https://doi.org/10.33521/jbs.2021.13.2.186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33521/jbs.2021.13.2.186
The Enshrinement and Succession of Sakyamuni's Buddhist Ashes of Silla Monk Jajang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및 분장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및 분장
J. Buddh. Soc. 2021;13(2):1-36.
https://doi.org/10.33521/jbs.2021.13.2.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33521/jbs.2021.13.2.1
The Change of Practice in Buddhist Community
불교 수행공동체의 변화
불교 수행공동체의 변화
J. Buddh. Thought Cult. 2018;10(2):61-106.
https://doi.org/10.33521/jbs.2018.10.2.6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33521/jbs.2018.10.2.61

The Characteristics and Its Status of Buddhist Painting of Queen Munjeong Period
문정왕후(文定王后) 시기 불화(佛畵)의 특징과 그 위상
문정왕후(文定王后) 시기 불화(佛畵)의 특징과 그 위상
J. Buddh. Thought Cult. 2018;10(2):220-271.
https://doi.org/10.33521/jbs.2018.10.2.220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33521/jbs.2018.10.2.220
Developments and Characteristics of Royal Buddhism in Early Joseon Dynasty
조선 전기 왕실불교의 전개양상과 특징
조선 전기 왕실불교의 전개양상과 특징
J. Buddh. Thought Cult. 2018;10(2):185-219.
https://doi.org/10.33521/jbs.2018.10.2.18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33521/jbs.2018.10.2.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