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일반논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코로나 19 이후 템플스테이에 대한 인식 변화

양택수*
Teck-soo Yang*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Acarya,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 Copyright 2023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Dec 11, 2023; Revised: Dec 26, 2023; Accepted: Dec 28, 2023

Published Online: Dec 31, 2023

국문 초록

코로나 19 펜데믹의 완화와 동시에 국내외 여행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템플스테이 참가자수 또한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 19 이후 템플스테이에 대한 인식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시기에 나타나는 키워드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첫째, 코로나 19와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의 등장이다. 둘째, 코로나 19는 혼자, 혹은 소규모 그룹 위주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급기야 2023년에는 혼자라는 키워드가 상위에 노출되었다. 셋째, 코로나 19를 경험하면서 아울러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은 템플스테이 사찰을 방문할 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을 돌아보며 직접 방문해서만 할 수 있는 로컬푸드를 체험하고, 지역의 관광명소를 방문하는 지역연계 여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이후의 변화된 인식을 파악하고, 코로나 엔데믹 이후 템플스테이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vel demand is increasing as the COVID-19 pandemic is easing. Accordingly, the number of Templestay participants is also rapidly recovering to the pre-COVID-19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emplestay after COVID-19 using big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keyword changes that appear during this period are, first, COVID-19 and the emergence of the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 Second, COVID-19 was an opportunity to promote activities alone or in small groups, and in 2023, the keyword of alone was exposed at the top. Third, while experiencing COVID-19, Templestay participants are not only visiting Templetay temples, but also touring the surrounding areas, experiencing local food that can only be visited in person, and visiting local tourist attrac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identified the changed perceptions after COVID-19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preparing a plan to operate Templestay after COVID-19.

Keywords: 템플스테이; 텍스톰; 빈도분석; N-Gram 분석; 빅데이터분석
Keywords: Templestay; Textom;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Big Data

Ⅰ. 서론

2019년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우리 일상생활은 많은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비대면’과 ‘이동제한’ 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산업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는데, 특히 국내외 관광 산업은 이전에 없는 충격과 위기를 경험하였다. 또한 심리적, 정신적인 우울감을 경험하는 ‘코로나 블루’라는 집단적 사회 스트레스 현상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템플스테이(Templestay)는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위치한 사찰에서의 특정시간(주로 1박 2일)을 머무르며 심신의 안정과 전통 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비대면과 이동제한이라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템플스테이 운영에도 큰 차질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2002년 운영을 시작한 이래 코로나 19가 한창이던 2020년 2월과 8월에 처음으로 전국 템플스테이 운영 전면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게 되었다. 꾸준하게 증가해온 템플스테이 참가자도 이 시기에는 급감할 수밖에 없었다.

템플스테이는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기점으로 시작되었고, 2004년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의 출범을 통해 전문적으로 관리 및 운영되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문화 체험 콘텐츠로 발전해오고 있다. 이러한 발전의 바탕에는 템플스테이 운영사찰과 다양한 학계의 노력도 간과할 수는 없다. 특히 템플스테이 관련 연구는 2007년을 시작으로 경영학, 관광학, 불교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석사, 박사학위논문 분야에서도 끊임없이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한태경, 2021; 임홍경, 2021). 코로나 19는 비대면을 특성으로 하여 각종 모바일 기술의 발달을 가속화시켰다. 특히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쇼핑 및 온라인 결제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각종 SNS를 통한 많은 정보들을 생산하고 수집할 수 있도록 우리의 삶을 바꿔놓았다. 이렇듯 변화된 산업을 통해 형성된 많은 데이터들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 변화에 대한 연구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연구방법면에서 서베이, 실험 등 전통적인 사회과학연구의 방법을 보완하며, 내용면에서는 시장의 변화를 파악하거나 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강욱권·고의석·이학래·김재능, 2018; 김선희·김범·서일한, 2022; 이상기, 2023). 하지만 템플스테이 관련 연구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트렌드 변화 및 대중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하나인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코로나 19 이후의 템플스테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20년 1월부터 2023년 5월까지 템플스테이 관련 주요 핵심어는 무엇인가?

  2. 같은 기간 템플스테이 주요 핵심어의 언어 네트워크 특성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이후의 변화된 인식을 파악하고, 코로나 엔데믹 이후 템플스테이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템플스테이의 선행연구와 네이버 데이터랩, 빅카인즈 등을 통해 온라인 상에 나타난 템플스테이의 특성에 대해 검토한다. 다음으로 3장 연구방법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와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4장에서는 코로나 19 이후의 템플스테이의 인식변화를 빈도분석, TF-IDF 분석, N-Gram 분석을 통해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I. 템플스테이의 이론적 고찰

템플스테이가 시작된지 올해로 21년째이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에서는 템플스테이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22년에 공익템플스테이, 학술대회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템플스테이는 한국의 사찰에서 머물며, 한국 불교의 문화, 수행 정신, 사찰 내외 문화관광적 자원과 자연환경 및 사찰의 일상을 체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템플스테이는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 당시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전통 사찰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숙박을 제공해 한국을 홍보하고 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시작되었다(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3).

2002년 33개 사찰에서 운영을 시작으로, 2023년 현재 150개 사찰에서 템플스테이가 운영되고 있으며, 2022년말 현재 누적 연인원 약 640만 명이 방문하였다. 템플스테이는 내국인들에게 휴식 및 일상의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여 국민의 행복 증진에 기여하고 있으며, 외국인들에게는 한국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한국 문화 세계화의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2).

이러한 발전에 발맞춰 학술연구도 진행되어 오고 있는데, 2007년 본격적으로 KCI에 등재되기 시작한 템플스테이 연구 학술논문은 2007년 1편으로 시작해, 꾸준하게 연구되어 2022년 7편, 2023년 4편(2023년 9월말 RISS 검색 기준)이 발표되었다. 년도별 논문수는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년도별 논문발행 현황(단위 : 편)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합계
논문수 1 3 2 2 7 6 7 5 10 8 3 0 5 7 5 7 4 82
Download Excel Table

연구주제별로 보면 템플스테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강덕봉, 2019; 유은수, 2018; 전재균·전창현·현경호, 2010), 템플스테이 활성화 방안(신현규·신홍철, 2011; 박태원, 2017), 템플스테이 선택 속성 및 체험 내용(임홍경, 2022; 김용훈, 2011), 템플스테이의 효과(오종만, 2020), 템플스테이 연구동향(양택수·이상현, 2019; 양택수, 2022)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기법으로는 기존의 양적 연구, 질적 연구방법에서 확장되어 2015년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등장하였다(김보경·김미경, 2015; 양택수·김진한, 2020; 한장헌·지윤호, 2021; 양택수, 2022).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2004년 한국불교와 불교문화콘텐츠를 알리기 위해 출범했으며, 전통문화체험, 교육, 전시, 연구조사, 캠페인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와 그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한국불교문화사업단 홈페이지).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의 주요 업무는 템플스테이와 한국사찰음식 홍보와 마케팅을 총괄하고, 지원, 관리 및 감독의 기능이라 할 수 있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갤럽에 의뢰하여 2016년부터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매년 발표하고 있다(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2). 2022년 템플스테이 만족도 조사를 요약하면,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남녀비율은 각각 21.7%, 78.3%로 해마다 여성 참가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참가자의 연령은 고르게 분포하고 있지만, 특히 20~30대 참가자들이 55%에 이른다. 참가형태는 나홀로 방문이 29%, 가족이나 친구, 연인 등과 방문하는 비율은 65%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소규모 인원 참가형태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템플스테이의 참가동기를 보면, 내국인은 휴식 및 일상의 재충전을 위해, 외국인은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템플스테이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템플스테이를 방문하는 내국인 참가자들은 스님과의 차담, 외국인 참가자들은 명상(자비수관, 가행정진) 등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네이버 데이터랩을 통해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템플스테이’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를 살펴보면 <그림 1>과 같다.

jbs-15-2-107-g1
그림 1. ‘템플스테이’에 대한 검색 트렌드(출처 : 네이버 데이터랩)
Download Original Figure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템플스테이 검색트렌드는 코로나 19 기간 등락을 반복하였지만, 이 기간에 가장 큰 이슈는 단연코 코로나 19 관련 뉴스였다. 2020년 8월에 검색량이 급증한 구간이 있었는데, 템플스테이는 2020년 8월 18일 발표된 정부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서울, 경기, 인천, 부산 지역 템플스테이 41곳의 운영이 중단된 바 있다(<법보신문>, 2020년 8월 19일자). 이 구간의 급격한 상승은 이와 관련된 뉴스의 증가로 판단된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분석 플랫폼인 블랙키위를 활용하여 템플스테이에 대한 키워드 분석량을 조회하고 분석한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템플스테이에 대한 검색량이 2020년 888,800건에서 2021년 791,200건, 2022년에 926,500건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코로나 19 초기의 검색량 감소에서 2021, 2022 년을 지나면서 코로나 19로의 적응과 이동제한으로 인한 여행수요가 템플스테이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이어진 것이라 추측된다.

jbs-15-2-107-g2
그림 2. ‘템플스테이’에 대한 검색 트렌드(출처 : 블랙키위)
Download Original Figure

또한, 연령별 검색 비율과 성별 검색 비율을 살펴보면 <그림 3>, <그림 4>와 같다. 분석결과, 20대가 33.8%, 30대가 26.3%로 20~30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검색량은 여성 75.1%, 남성 24.9%로, 여성이 월등히 많이 검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템플스테이 참가자 만족도 조사결과에 의한 20~30대의 응답자 비율 55%와도 비슷한 수치이다. 또한 응답자의 78%가 여성, 22%가 남성인 점도 비슷한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3), 템플스테이에 대한 검색과 실제 방문간에 상당한 연관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jbs-15-2-107-g3
그림 3. ‘템플스테이’에 대한 연령별 검색 비율(출처 : 블랙키위)
Download Original Figure
jbs-15-2-107-g4
그림 4. ‘템플스테이’에 대한 성별 검색 비율(출처 : 블랙키위)
Download Original Figure

또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인 빅카인즈를 통해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템플스테이’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를 살펴보면 <그림 5>와 같다.

jbs-15-2-107-g5
그림 5. ‘템플스테이’에 대한 키워드 검색 트렌드(출처 : 빅 카인즈)
Download Original Figure

코로나 19 발생 초기에는 코로나 관련 뉴스가 기사화되면서 템플스테이에 대한 검색량이 증가하였고, 이후 검색량이 상대적으로 침체되다가 2022년 초반부터 꾸준히 템플스테이 검색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23년 초에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코로나 19 엔데믹으로의 기대로 인해 국내외 여행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한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볼 때, 최근 코로나 19 이후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템플스테이 검색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템플스테이 실제 방문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템플스테이는 남성보다는 여성의 관심도가 높은 편이며, 20~30대의 연령에서 템플스테이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학문 연구에 있어서 전통적인 사회과학연구의 방법을 보완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기존의 양적, 질적 연구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면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템플스테이 관련 연구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트렌드 변화 및 대중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 방식으로 코로나 19 이후의 템플스테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템플스테이가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략적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II.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접근성이 높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검색된 데이터로 분석대상을 설정하였고, 자료의 수집은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였다. 검색 키워드는 ‘템플스테이’로 하였고, 코로나 19 시기인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를 기간으로 설정하고,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도별로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템플스테이’와 관련하여 수집된 자료는 <표 2>와 같다. 수집결과, 총 10,982개(건)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형태소 분석을 거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동의어 삭제, ‘후’, ‘것’ 등의 단어를 삭제하는 정제 과정을 거쳤다. 정제 후 최종적으로 도출된 단어들로 빈도분석,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단어 빈도-문서 역빈도) 분석, N-gram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2. ‘템플스테이’ 관련 데이터 수집 출처
수집채널 수집섹션 수집량(건) 용량(MB)
네이버 블로그 3,570 1.12
뉴스 2,899 1.16
카페 3,490 1.84
구글 뉴스 1,023 0.274
합계 10,982 4.394
Download Excel Table

IV. 분석결과

1. 코로나 19 이후 지난 4년간 ‘템플스테이’에 대한 단어 빈도분석 및 TF-IDF 분석결과

‘템플스테이’ 관련 상위 50개까지 정리한 빈도분석 결과는 <표 3>과 같다. 단어빈도분석은 데이터 내에서 단어의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TF-IDF 분석은 빈도분석 방법을 보완하여 특정 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가중치 값을 계산한다. 이를 통해, 문서상에서 수집된 단어의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조우제, 2022). 2020년부터 2023년 5월말 현재까지 산출된 빈도 중 상위 50개의 단어를 기관, 운영사찰, 인물, 방문형태(혼자 방문 혹은 함께 방문), 방문 동기, 지역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3. ‘템플스테이’ 관련 빈도분석 결과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1 템플스테이 5,590 1 템플스테이 5,146 1 템플스테이 4,641 1 템플스테이 4,925
2 불교 660 2 불교 669 2 불교 653 2 여행 1388
3 문화 588 3 체험 633 3 체험 597 3 체험 699
4 체험 582 4 여행 547 4 문화 590 4 사찰 545
5 여행 561 5 사찰 451 5 스님 531 5 불교 533
6 사찰 521 6 한국 450 6 사찰 402 6 스님 459
7 코로나 500 7 문화 394 7 한국 368 7 혼자 388
8 스님 481 8 스님 364 8 사업단 289 8 문화 332
9 프로그램 391 9 휴식 351 9 여행 286 9 휴식 314
10 한국 385 10 코로나 315 10 템플 237 10 프로그램 282
11 휴식 335 11 프로그램 304 11 프로그램 236 11 마음 268
12 힐링 312 12 마음 275 12 휴식 233 12 한국 244
13 마음 298 13 문화사업단 266 13 마음 232 13 서울 242
14 사업단 286 14 힐링 234 14 서울 228 14 예약 233
15 서울 227 15 서울 222 15 접종 223 15 학교 229
16 생각 204 16 관광 213 16 힐링 215 16 할인 215
17 사람 185 17 예약 157 17 명상 215 17 힐링 200
18 용문사 163 18 이후 148 18 스테이 193 18 축제 198
19 여름 162 19 생각 147 19 예약 179 19 명상 197
20 명상 156 20 추천 142 20 추천 174 20 강릉 193
21 예약 149 21 명상 142 21 대상 166 21 박물관 183
22 낙산사 145 22 친구 141 22 외국인 150 22 주문진 183
23 추천 145 23 주소 132 23 생각 145 23 속초 182
24 친구 143 24 대상 130 24 코로나 145 24 교통 180
25 조계사 141 25 낙산사 124 25 시작 139 25 부처 175
26 임영웅 140 26 사람 124 26 할인 139 26 미세먼지 164
27 전국 137 27 전화번호 114 27 관광 126 27 귀농 163
28 버킷 134 28 번호 109 28 종교 112 28 시골 162
29 수행 133 29 팩스 108 29 친구 112 29 부동산 159
30 월정사 132 30 조계종 104 30 가족 112 30 문화사업단 156
31 관광 125 31 전등사 103 31 산사 105 31 용문사 152
32 방학 121 32 우리 103 32 낙산사 103 32 답례품 147
33 가족 119 33 주차 102 33 지역 101 33 친구 143
34 시작 117 34 가을 101 34 용문사 98 34 추천 139
35 영탁 117 35 누적 98 35 송광사 98 35 관광 133
36 조계종 116 36 산사 97 36 세계 96 36 지역 131
37 지역 113 37 시작 96 37 사람 96 37 화엄사 127
38 혼자 111 38 할인 95 38 조계종 95 38 생각 123
39 우리 111 39 용문사 95 39 치유 93 39 조계종 116
40 방송 107 40 종교 95 40 해인사 92 40 시작 113
41 봉선사 102 41 사찰음식 92 41 순례 91 41 낙산사 109
42 행복 100 42 봉선사 92 42 사찰음식 91 42 경기도 109
43 가을 97 43 혼자 90 43 우리 90 43 우리 108
44 주지 97 44 세계 90 44 아이 88 44 고향 107
45 최우식 97 45 자연 87 45 대표 85 45 상품 107
46 산사 95 46 경험 87 46 행복 83 46 학생 106
47 사회 94 47 일상 86 47 올해 82 47 가족 106
48 정유미 94 48 수행 85 48 학생 81 48 종교 105
49 치유 91 49 지역 81 49 사회 79 49 백양사 104
50 전등사 90 50 선원 81 50 일상 79 50 부산 104
Download Excel Table

우선, 우리 나라는 2020년 1월 20일 코로나 19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1차, 2차 유행을 거치면서 코로나 19로 인해 사회, 경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겪었다. 템플스테이 관련 키워드에 있어서도 코로나 19와 관련된 키워드가 많이 언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2020년 빈도수 500건, 2021년 315건, 2022년 145건으로 서서히 감소하다가 2023년에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2023년으로 갈수록 엔데믹에 따른 일상생활 회복이 본격화되면서 코로나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템플스테이와 관련 있는 기관으로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과 ‘대한불교조계종’이 언급되었다. 이는 코로나 19 초기에 한국불교문화사업단에서 템플스테이 운영 중단 혹은 재개에 대한 공지와 템플스테이 운영관련 마케팅 활동이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코로나 19라는 초유의 사태에서도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주도로 사회공익적 역할 실현을 통한 글로벌 체험 프로그램으로 도약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들과 코로나19 대응 의료, 보건, 방역 관계자 들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를 실시하였다.

셋째, 템플스테이와 관련된 사찰로는 용문사, 낙산사, 조계사, 월정사, 봉선사, 전등사, 송광사, 해인사, 화엄사, 백양사 등이 언급되었다.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사람들의 실질적 이동이 제한적인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템플스테이를 운영하는 개별 사찰 키워드가 꾸준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용문사는 템플스테이 최우수운영사찰 중 하나이다.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쉬우며, 주변경관이 수려하고, 천연기념물 제30호 은행나무가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템플스테이 숙소 또한 1인실과 2인실이 마련되어 있어 취향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고, 요가, 캠프파이어, 화덕피자 제공 등 템플스테이를 통한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넷째, 템플스테이와 관련된 인물로는 임영웅, 최우식, 정유미 등이 언급되었다. 코로나 19 시기에 템플스테이 참가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방송 홍보용으로 연예인들이 템플스테이의 일상을 체험하는 방송이 예능을 통해 방영되었다.

다섯째, 휴식, 힐링, 치유 등이 언급되었는데, 이는 방문동기와 목적과 부합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템플스테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일상을 벗어나 수려한 자연 환경속에서 휴식과 힐링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검색 경향은 템플스테이 참가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나타나는데, 참가자들은 ‘휴식 및 일상의 재충전’, ‘자아성찰 및 심신안정’을 위해 템플스테이를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2).

여섯째, 템플스테이 방문 형태는 친구, 가족, 혼자 등이 언급되었다. 이는 코로나 19로 인해 위생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소규모 중심으로 여행 혹은 방문 형태가 바뀌고 있는 경향이 템플스테이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3년에는 친구, 가족보다 혼자라는 키워드가 상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템플스테이를 통해 일상을 벗어난 공간에서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고, 자율적인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템플스테이 관련 지역명 키워드로는 서울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서울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총본산인 조계사, 한국불교문화사업단 등이 위치하고 있는 곳이고, 16개의 사찰에서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명과 관련하여 나타난 검색어에서 특이할 만한 점은, 2023년에는 서울 이외에 강릉, 주문진, 속초 등 바다와 인접한 다양한 지역이 함께 언급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코로나 19를 거치며 이동제한의 위험에서 벗어나 바다 여행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사회 공익적 역할 강화의 일환으로 템플스테이와 지역의 관광자원을 연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결과로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지역에서 열리는 축제, 박물관 키워드가 상위에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템플스테이를 통한 주변 지역 여행 연계와 문화체험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빈도분석 후, 문서에서 키워드가 의미하는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TF-IDF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빈도분석으로 도출된 키워드와 유사한 키워드를 보이고 있어, 빈도분석을 통해 도출된 키워드 들이 중요한 키워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2. N-gram 분석

템플스테이 관련 키워드 간의 연결관계를 시각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문장내에서 단어들 사이의 동시 입력 빈도를 나타내는 N-gra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표 4>와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나타나는 키워드의 특징은 템플스테이의 정의를 의미하는 ‘불교 문화’, ‘한국 불교’, ‘문화 체험’ 등의 키워드가 상위에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템플스테이는 한국의 불교문화, 혹은 문화 체험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템플스테이의 운영을 총괄하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게다가 ‘템플스테이 + 체험’, ‘템플스테이 + 휴식’, ‘템플스테이 + 예약’, ‘템플스테이 + 프로그램’ 등의 키워드가 많이 등장하는 것을 통해 템플스테이 예약과 템플스테이의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빈도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용문사’, ‘월정사’, ‘조계사’, ‘봉은사’, ‘전등사’ 등 템플스테이 우수운영사찰의 이름이 키워드로 많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2021년에 많이 등장하였던 ‘템플스테이 + 코로나’ 키워드는 엔데믹으로 가는 2022년, 2023년에는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코로나 19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표 4. ‘템플스테이’ 관련 N-Gram 분석 결과(2020년, 2021년)
2020년 2021년
순위 단어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단어 빈도
1 불교 문화 348 1 한국 불교 313
2 문화 사업단 283 2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284
3 한국 불교 279 3 불교 문화사업단 207
4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247 4 템플스테이 체험 176
5 템플스테이 체험 203 5 템플스테이 휴식 158
6 템플스테이 휴식 136 6 불교 문화 157
7 템플스테이 사찰 115 7 문화 체험 137
8 용문사 템플스테이 112 8 체험 프로그램 128
9 휴식 템플스테이 107 9 프로그램 템플스테이 117
10 프로그램 템플스테이 106 10 전화번호 팩스 108
11 여름 방학 99 11 팩스 번호 108
12 낙산사 템플스테이 95 12 템플스테이 이후 105
13 체험 프로그램 92 13 휴식 템플스테이 100
14 월정사 템플스테이 89 14 이후 누적 97
15 문화 체험 82 15 주차 템플스테이 90
16 임영웅 영탁 81 16 템플스테이 사찰 79
17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72 17 번호 주소 79
18 템플스테이 추천 70 18 낙산사 템플스테이 79
19 템플스테이 예약 69 19 템플스테이 예약 74
20 봉선사 템플스테이 69 20 템플스테이 추천 66
21 버킷 리스트 64 21 여행 템플스테이 65
22 정유미 최우식 64 22 용문사 템플스테이 65
23 조계사 템플스테이 62 23 주소 주차 60
24 사찰 템플스테이 60 24 템플스테이 코로나 59
25 여행 템플스테이 59 25 체험 템플스테이 58
26 템플스테이 힐링 58 26 전등사 템플스테이 57
27 힐링 템플스테이 57 27 동화사 템플스테이 57
28 템플스테이 마음 57 28 봉선사 템플스테이 56
29 템플스테이 이후 57 29 템플스테이 네이버 54
30 불교 조계종 56 30 백신 접종 53
31 전국 사찰 56 31 네이버 지식 50
32 템플스테이 코로나 54 32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50
33 전등사 템플스테이 54 33 템플스테이 여행 50
34 템플스테이 여행 54 34 선원 템플스테이 48
35 원경 스님 53 35 위드 코로나 47
36 전국 템플스테이 53 36 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 46
37 이후 누적 52 37 사찰 템플스테이 46
38 템플스테이 한국 50 38 선운사 템플스테이 46
39 여행 주간 49 39 템플스테이 서울 45
40 단장 원경 48 40 단장 원경 45
41 코로나 확산 44 41 템플스테이 마음 45
42 주지 스님 44 42 상세 주소 45
43 사업단 단장 43 43 템플스테이 한국 44
44 템플스테이 불교 42 44 월정사 템플스테이 43
45 체험 템플스테이 42 45 원경 스님 43
46 템플스테이 중단 41 46 템플스테이 힐링 43
47 금강 스님 41 47 국제 선원 41
48 학당 임영웅 41 48 템플스테이 참가 39
49 템플스테이 도전 41 49 연등 국제 39
50 봉은사 템플스테이 40 50 마음 템플스테이 38
Download Excel Table
표 5. ‘템플스테이’ 관련 N-Gram 분석 결과(2022년, 2023년)
2022년 2023년
순위 단어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단어 빈도
1 문화 사업단 285 1 혼자 여행 318
2 불교 문화 270 2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239
3 한국 불교 227 3 템플스테이 체험 222
4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205 4 여행 교통 160
5 템플스테이 체험 196 5 강릉 여행 160
6 템플 스테이 150 6 축제 여행 160
7 템플스테이 추천 93 7 교통 부동산 159
8 템플스테이 휴식 89 8 부동산 학교 159
9 스님 불교 83 9 미세먼지 박물관 159
10 템플스테이 예약 75 10 귀농 축제 159
11 템플스테이 사찰 71 11 여행 혼자 159
12 문화 체험 70 12 시골 귀농 159
13 체험 템플스테이 68 13 여행 시골 159
14 사찰 템플스테이 67 14 학교 미세먼지 159
15 템플스테이 할인 66 15 여행 주문진 157
16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64 16 주문진 여행 157
17 대상 템플스테이 60 17 여행 강릉 147
18 사업단 단장 59 18 속초 혼자 147
19 템플스테이 한국 58 19 한국 불교 135
20 낙산사 템플스테이 57 20 불교 문화사업단 130
21 용문사 템플스테이 55 21 템플스테이 휴식 128
22 휴식 템플스테이 52 22 용문사 템플스테이 102
23 송광사 템플스테이 51 23 템플스테이 예약 92
24 백신 접종 49 24 체험 템플스테이 92
25 고궁 능원 49 25 고향 사랑기부제 74
26 사업단 템플스테이 49 26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73
27 해인사 템플스테이 48 27 템플스테이 사찰 70
28 명상 마을 47 28 템플스테이 추천 70
29 이웃 종교 45 29 템플스테이 할인 70
30 단장 원경 44 30 스님 불교 69
31 세계 명상 44 31 할인 혜택 69
32 전등사 템플스테이 43 32 사찰 템플스테이 67
33 지현 스님 42 33 백양사 템플스테이 66
34 불교 임상 41 34 문화 체험 63
35 템플스테이 시즌 41 35 여행 템플스테이 61
36 스님 순례 41 36 상품 기획 60
37 응답 템플스테이 41 37 여행 주간 59
38 시즌 지현 41 38 경기 바다 57
39 순례 응답 40 39 바다 여행 56
40 불교 식물 40 40 낙산사 템플스테이 56
41 식물 지안 40 41 주간 상품 55
42 지안 스님 40 42 휴식 템플스테이 53
43 종교 칼럼 40 43 화엄사 템플스테이 53
44 경전 불교 40 44 사찰 여행 53
45 칼럼 경전 40 45 전국 사찰 52
46 템플스테이 서울 39 46 템플스테이 마음 50
47 순천 송광사 39 47 불교 문화 50
48 가섭 스님 39 48 사랑기부제 답례품 49
49 법주사 템플스테이 39 49 불교 조계종 48
50 불교 이웃 39 50 봉선사 템플스테이 46
Download Excel Table

2023년에 들어서며 특이하게 확인되는 현상 중의 하나는 ‘혼자 + 여행’, ‘강릉 + 여행’, ‘축제 + 여행’, ‘주문진 + 여행’, ‘속초 + 혼자’ 등의 키워드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코로나 19를 지나오면서 소규모 여행, 특히 여행의 형태가 ‘혼자하는 여행’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템플스테이를 방문하고 주변 지역을 돌아보는 지역 연계 여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이를 통해 인구소멸 지방도시의 관계인구 유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템플스테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공익적 역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해외여행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짧고 가까운 곳에서 지역문화 체험이 가능한 소규모 도시 중심의 근거리 여행이 증가하였고, 특히 바다 여행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강릉, 속초, 주문진 등 바다와 인접한 여행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V.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 19를 거치며 나타나는 템플스테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키워드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첫째, 코로나 19와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다. 코로나 19는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비대면과 이동제한이라는 특징은 템플스테이 운영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의 변화로 인해 템플스테이 운영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템플스테이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초 계획했던 정책이나 사업은 신속한 대응을 수반하였으며, 변화가 불가피하였다. 템플스테이 운영과 마케팅을 주관하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코로나 19를 겪으면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주변 환경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하였고, 그 결과 템플스테이의 운영과 사찰음식 홍보에 대한 역할이 증대되었다. 향후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의 현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아진 위상과 역할 증가에 걸맞는 전문화된 인적자원 양성과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둘째, 코로나 19는 혼자 혹은 소규모 그룹 위주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급기야 템플스테이에서도 2023년에는 혼자라는 키워드가 상위에 노출되었다. 이는 우리 사회가 코로나 19를 거치며 개인화, 좀더 세분화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제적 양극화가 가속화되고 코로나를 통해 비대면 사회로 변화하면서 개인의 행복을 더욱 중시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앞으로 템플스테이 운영은 양적 성장보다는 참가자 개인의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 또한 템플스테이 운영 사찰의 방사 운영은 사찰 한옥건물의 아름다움과 장점을 살리면서 1인실 혹은 2인실 등 소규모 방사 운영으로의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

셋째, 코로나 19를 경험하면서 특정시기에 여행을 떠나는 것이 아닌 일상이 여행인 시대를 살고 있다. 아울러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은 템플스테이 사찰을 방문할 때 주변 지역을 돌아보며 직접 방문해서만 할 수 있는 로컬푸드를 체험하고, 지역의 관광명소를 방문하는 지역 연계 여행을 하고 있다. 따라서 ‘기차 타고 산사로’, 사찰음식홍보 행사, 지역 축제와 연계한 프로그램 등 템플스테이와 지역 혹은 지역축제와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인구 감소가 가속화되고, 지방소멸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과 연계하는 템플스테이의 사회 공익적 역할 확대를 통해 지방 소도시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 국토의 균형발전이라는 난제 해결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에 대한 코로나 19 이후의 변화된 인식을 파악하고, 코로나 엔데믹 이후 템플스테이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이러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무적으로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의 인적자원 확보, 템플스테이 참가자 만족도 증가 방안, 사회공익적 역할 수행을 위한 지역연계 프로그램 활성화에 대한 제언 등 템플스테이 운영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학문적으로는 템플스테이 연구에 있어서 연구영역과 연구방법 확장에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다 세분화되고 정제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연도별 차이점과 다양한 네트워크 분석이 배제되었다.

따라서 향후 분석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방법 개선을 바탕으로 타겟마케팅을 위해 20~30대, 40~50대 등 특정 연령 혹은 남녀 참가자들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의 계층별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코로나 19를 거치면서 국내외에 여러 가지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 엔데믹 이후에도 여전히 감염 위험은 공존하고 있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환경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지만, 우리 사회가 가진 여러 가지 문제 해결을 위해 템플스테이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참고문헌

1.

강덕봉. 2019. “농업 6차산업 체험 마케팅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혁신학회지』. 2(1): 119-130.

2.

강욱권·고의석·이학래·김재능. 2018.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패키징에 대한 소비자의 주요 인식조사-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4): 15-22.

3.

김보경·김미경. 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템플스테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블로그와 트위터를 중심으로 -.” 『관광학연구』. 39(5): 27-40.

4.

김선희·김범·서일한.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 활동 안전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61(4): 373-383.

5.

김용훈. 2011. “체험경제시대의 템플스테이의 관광만족에 대한 연구.” 『불교학보』. 315-340.

6.

김현태. 2020. “수도권·부산 템플스테이 8월 30까지 전면 중단.” <법보신문>, 8.19.

7.

박태원. 2017. “우리나라 템플스테이의 활성화 방안.” 『한국불교학』. 82: 403-444.

8.

신현규·신홍철. 201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템플스테이 활성화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8): 438-447.

9.

양택수·이상현. 2019. “문화산업관점에서의 템플스테이 연구동향 분석과 향후 발전방안.” 『문화경제연구』. 22(1): 21-57.

10.

양택수·김진한. 2020. “빅데이터를 활용한 템플스테이 트렌드 분석.”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26(2): 5-28.

11.

양택수. 2022. “템플스테이의 연구동향분석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101: 287-315.

12.

오종만. 2020. “템플스테이 참여자의 심리적 효과연구 : 마음챙김,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2(11): 755-781.

13.

유은수. 2018. “템플스테이 체험이 진정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상기. 2023. “빅데이터 분석은 사회과학 연구에서 방법론적 혁신인가?.” 『문화기술의 융합』. 9(3): 655-662.

15.

임홍경. 2021. “템플스테이 체험효과성과 체험요인의 구조적 관계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임홍경. 2022.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의 영향 연구- 심리적 안녕감, 지각된 스트레스, 가족건강성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50: 385-412.

17.

전재균·전창현·현경호. 2010. “내국인과 외국인 템플스테이 참가자간의 참가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2): 1053-1065.

18.

조우제. 2022. “빅데이터를 이용한 코로나 19 로 인한 캠핑트랜드의 변화 분석: 차박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7(4): 1-23.

19.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2.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소개』.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2. 『템플스테이 20년의 성과와 발전방향 연구』.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1.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3. 『2022년 템플스테이 참가자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2.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023. 『2023년 제 1차 템플스테이 운영인력 의무교육(9급)』. 한국불교문화사업단.

23.

한장헌·지윤호. 2021.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템플스테이의 종교문화적 탐색 및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17(1): 89-105.

24.

한태경. 2021. “템플스테이 참여 경험의 연령별 차이연구.” 중앙승가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