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투고논문

초기불전에 나타난 삼매(samādhi)의 위상

김준호
Jun-ho Kim

© Copyright 2011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14, 2011; Revised: Dec 16, 2011; Accepted: Dec 18, 2011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이 글은 초기불전에 나타난 삼매의 중요성이 그 서술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특히 남북 양전을 비교․대조 분석하게 되면 하나의 시각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양상이 발견된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전제는 삼매를 포함한 여타의 명상법 일반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는 지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삼매의 의미를 풍부하게 살펴보려는 시도 대신에 삼매의 위상을 둘러싸고 서로 다른 의견의 층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부각시키려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목표이다. 곧 삼매는 지혜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예비수단에 지나지 않다거나 삼매의 획득 그 자체가 중요하다는 주장 모두 초기불전 안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삼매의 위상에 대해 쉽게 단정을 내리기가 어려운 사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초기불전에서 발견되는 삼매의 의미와 그 의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 아니라 삼매의 해석을 둘러싸고 서로 다른 의견이 존재하고 있음을 지적함으로써 초기불교 명상법에 내재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복합성과 중층적인 구조를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삼매와 결합되는 신통력과 지혜를 먼저 살펴보고, 이어서 초기불전에서 서술되고 있는 삼매를 남북 양전의 비교․대조 분석을 통해 삼매 중심의 서술 유형과 삼매 비중심 서술 유형으로 나누어 삼매의 위상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primarily to illuminate the statue of samādhi in the early Buddhist texts. That is to say, th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amādhi’, which is described differently in the Pali Canon and Chinese Agamas.

Therefore, one perspective is not suitable for the understanding of samādhi. This presupposition would be extended to be understood as meditative methods in general.

Instead of exploring the various meanings of samādhi, I realize tha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statue of samādhi. One can argue that samādhi is a pre-requirement for archiving wisdom. Or the other hand, one can argue that attaining samādhi itself is meaningful and very important. Because both theories appear in the Pali Nikaya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the statue of samādhi.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to reveal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interpretation of samādhi. Furthermore, I want to point out the multiple meanings and complex structures of samādhi in the early Buddhist texts.

I first examine the mysterious power and wisdom connected with samādhi and the aspect of samādhi explained in the Pali Nikaya and Chinese Agamas. Through the comparing and contrasting of two different textual versions, I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course focused on samādhi and discourse focused on non-samādhi which eventually reveals what samādhi is and where samādhi is.

Keywords: 삼매(三昧); 선(禪); 명상; 지혜; 초기불교
Keywords: samādhi,; jhāna; meditation; paññā; early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