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투고

불교고고학에서 건축역사학의 필요성과 가능성

홍병화1
Byeonghwa Hong1
1건축학 박사
1PhD. in Architecture

© Copyright 2013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발굴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하는 고고학분야에서 건축역사학의 필요성을 자주 언급하여 왔다 하지만 당위성은 . 인정하지만 현재까지 그만큼의 성과나 노력이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고고학에서 불교유적 조사는 이미 하나의 분야로 인정을 받고 있으며, 인접 분야인 건축역사학계와 불교미술사학계 등과 연구영역이 겹치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중에서 건축역사학분야에서 주요 연구주제로 삼고 있는 배치계획의 연구는 고고학에서도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어 두 학문 간의 협업이 특히 중요하다는데 이견이 없다. 이는 조사 및 결과 정리 과정에서 구조물의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과 유적의 정비와 활용 등은 건축분야에서 수행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협업 노력이 있는지 의문이 들며, 양측 모두에서 설득력있게 필요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두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노력해야할 문제임은 분명하지만 우선 이 글에서는 불교유적의 발굴조사에서 건축유적의 원리와 성격 중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들을 정리하여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삼고자 한다.

Abstract

In the archaeology field where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is used mostly, the need for construction history study has been often mentioned. Although its need is agreed, it is not sure whether or not equivalent results or efforts have been committed. Buddhism site research has been recognized as a field of study in archaeology and the study area is overlapped with adjacent fields such as construction history and Buddhism art.

Studies about arrangement plan which is being studied in construction archaeology as a major field also agree that the collaboration is required between these two disciplines. It is because understanding on structures is required during investigation and result organizing process also the repairing and utilizing the ruins are necessary in the construction field.

However, it is not sure if there has been any collaboration efforts and both have not persuaded each other the needs for collaboration. It is something that the researchers need to put efforts on. Anyhow, the things that are required among principal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m site excavation process are organized in this study as a part of such efforts.

Keywords: 불교고고학; 건축역사학; 불교건축; 주망(柱網); 적심; 이주법(移柱法); 감주법(減柱法)
Keywords: 불교고고학(buddhist archeology); 건축역사학(architectural history); 불교건축(buddhist architecture); 주망柱網(grid); 건물지(building site); 이주법移柱法(method of remove column); 감주법減柱法(method of omit colum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