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발표논문

티벳의 지관(止觀) 수행체계 연구:

양승규
Seung-kyu Yang

© Copyright 2010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05, 2010; Revised: Dec 15, 2010; Accepted: Dec 17, 2010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수습차제』에서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차제적인 측면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대승불교의 측면에서 지관을 실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수습차제』에서 설명하는 지관의 수행체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승불교의 핵심은 대비심, 보리심, 수습 셋이다. 대비심은 ‘일체중생이 어떻게 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하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대비심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먼저 일체 중생이 동등하다는 동등심을 일으켜야 한다. 일체 중생은 모두 고통을 싫어하고 행복을 원한다는 점에서 똑같다. 이런 중생들이 윤회하는 동안 나를 낳아주고 길러준 어머니라는 생각해야 한다. 이렇게 소중한 나의 어머니가 지금 생로병사 등의 고통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우리들의 마음속에 자연스럽게 대비심이 생길 수 있다. 대비심이 생기면 그 일체 중생을 내가 건지겠다는 증상심(增上心)이 생기고, 증상심이 생기면 ‘일체 중생을 위해 부처님의 깨달음을 성취하겠습니다’라고 하는 보리심이 생긴다. 원의 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은 율의를 수지하여 육바라밀과 같은 행의 보리심을 실천한다. 행의 보리심은 지혜와 방편을 닦는 것이다. 이 지혜와 방편을 통해서 부처님의 원만한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다.

둘째, 문사수(聞思修) 삼혜(三慧)를 통해 지관으로 나아간다. 지혜는 수습하는 것에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듣고 생각하는 것에서도 지혜가 생긴다. 특히 지관을 닦을 경우에는 듣고 생각하는 지혜가 없으면 지관의 수행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경론의 말씀을 설해주는 선지식의 가르침을 듣는 것에서 문소성혜(聞所成慧)와 이를 깊게 생각하는 것에서 사소성혜(思所成慧)를 일으켜 수소성혜(修所成慧)에서 지관을 닦는다.

셋째, 지를 통해 심일경성(心一境性)을 성취하고, 몸과 마음의 가벼움을 성취한 다음 관을 행한다. 관을 실천하면서 먼저 일체법은 외경(外境)으로 성립하지 않고 마음에 인식된 것에 불과하다는 유심지(唯心知), 소취가 없으면 능취도 성립하지 않는다는 무이지(無二知), 그 다음 불현지(不現知)를 통해 승의의 무자성공을 깨닫는다. 이와 함께 세속제에서 일체법이 존재하는 것을 함께 보아야 한다. 불현지에 머물면서 방편과 반야를 함께 실천하면서 유가사는 신해행지에서 보살십지, 마침내 불지를 성취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수습차제』는 대승불교의 가르침에 입각하여 중생이 불지를 증득하는 전체적인 체계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대승지관법의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입문서가 한문으로 번역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가치를 알지 못했던 것이 아쉽다.

Abstract

As the title of the text shows, Kamalaśīla's Bhāvanākrama explains the practicing steps systematically. In particular,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showing how to practice śamatha-vipaśyanā based on Mahāyāna Buddhism. It's because Korean Buddhism didn't set a very strict practice tradition though it is Mahāyāna Buddhism.

The practicing systems of śamatha-vipaśyanā of Bhāvanākrama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ssences of the Mahāyāna Buddhism are the great compassion, the mind of enlightenment (bodhicitta) and the practice. The great compassion is to have a mind of 'how nice it would be if all sentient beings are free from sufferings'. To cultivate the great compassion, we should arouse equanimity that all sentient beings are equal. All sentient beings are all the same in disliking suffering and wanting happiness. We need to recognize them as our mother who gave birth to us and raised us in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When we think that our beloved mother is suffering, we would have the great compassion naturally. Once we have it, an unusual mind of assuming the burdens of all sentient beings and saving them all is the next to arouse. Once we have it, then the mind of enlightenment (bodhicitta) of attaining Buddhahood in order to help all sentient beings is the next to follow.

The bodhisattva who has the bodhicitta of determinative (praṇidhi) puts the bodhicitta of practicing (pratipatti) like six pāramitā into practice by observing bodhisattva vows. The bodhicitta of practicing (pratipatti) is to practice wisdom and means. Through wisdom and means, Buddha's enlightenment could be attained.

Secondly, we go forward to śamatha-vipaśyanā by means of three wisdoms of hearing, thinking and meditating. One gains wisdom not only through meditating, but through hearing and thinking. The wisdom of hearing consists in study and learning to ascertain the meaning of the truths. The wisdom of thinking penetrates the true meaning of the truths by means of logic and reference to authority. The wisdom of meditating is completed by practicing śamatha-vipaśyanā.

Thirdly, once gaining one-pointed mind and the lightness of mind and body by means of śamatha, then we practice vipaśyanā. While practicing vipaśyanā, we have to bring up the mere mind knowledge that all dharmas or the material things are not existed as external objects, but these are just not different from consciousness. Non-dual knowledge that without objects, there can be no subjects is next to be realized, and then one grasps that all dharmas are devoid of essence in ultimate truth through non-representational (nirabhāsa) knowledge. With this, one has to see all dharmas or the material things exist in conventional truth. In non-representational (nirabhāsa) knowledge, the yogin practices both the knowledge and the means and gets to attain the stage of adhesion (adhimukticaryābhūmi), ten boddhisattva-stage and buddha-stage finally.

In this point, Bhāvanākrama explains the system clearly how to attain the buddha-stage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Mahāyāna Buddhism. Therefore Bhāvanākrama can be said an introduction to the practice of śamatha-vipaśyanā. I feel so sorry that we didn't notice this introduction's value even though it already had been translated in Chinese.

Keywords: 대비심; 보리심; 지관; 문사수(聞思修); 심일경성(心一境性); 유심지(唯心知); 무이지(無二知); 불현지(不現知)
Keywords: Tibetan buddhism; śamatha-vipaśyanā; Kamalaśīla; Bhāvanākrama; bodhicitta; compassion; one-pointed 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