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발표논문

용수의『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남수영
Soo-young Nam

© Copyright 2012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논자는 본 논문에서 용수가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사성제와 삼보가 모두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이유와 그가 무자성론에 근거해서 설명하는 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송』및 그에 대한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해서 살펴보았다.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은 인연(因緣)을 기다리지 않고 결정되어 있으며,자성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유자성론에서 여러 법의 발생과 소멸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으며,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심으로 하는 사성제도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다. 또한 유자성론에서는 사성제가 성립하지 못하기 때문에 삼보도 성립하지 못한다. 한편 용수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은 공성의 비자각 → 희론의 발생 → 분별의 발생 → 번뇌의 발생 → 업의 발생 → 고통의 발생으로 설명되고 ,고통의 소멸은 공성의 자각 → 희론의 소멸 → 분별의 소멸 → 번뇌의 소멸 → 업의 소멸 → 고통의 소멸로 설명된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과 용수의 무자성 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의 개념은 인연의 부정,인과의 부정,생멸의 부정을 내포하기 때문에,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이 모두 힘들어지지만, 용수의 무자성론에서는 일체법이 비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발생을 설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소멸을 설명하는 것도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에게 일체법의 무자성성과 공성을 자각하는 것은 고통을 소멸하고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그리고 무자성성과 공성에 대한 자각은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얻어진다. 즉 연기인 사물은 무자성이고, 공이고, 가명이고, 중도인 것이기 때문에, 존재성과 비존재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일체법이 연기의 결과물이라고 하는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모든 사물들이 마치 석녀의 딸처럼 무자성이고 공인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자각에 의해서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차례로 소멸하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송』에서 발견되는 세 종류의 연기설과 공성의 자각, 그리고 열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세속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12연기설과 상호의존적 연기설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고 공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또한 수행자는 승의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팔불연기설을 통해서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런 깨달음을 통하여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소멸하고, 윤회의 고통도 소멸한 ‘길상(吉i洋)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Abstract

The present writer has examined the reason as to why Nāgārjuna asserts that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hree jewels are destroyed in the self nature theory of Sarvāstivāda, Nāgārjuna's explanation of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ased on the no-self nature theoty centered on Mūlamadhyarnaka-kārikā as well as in the commentaries of Candraldrti and Pirigala of this article. I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The Sarvāstivāda says that the self nature of dharma is determined to not wait for a cause and condition, and never change. Therefore, the self nature theoty of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dharmas and the four noble truths, which are the explan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If the four noble truths can not be established, the three jewels also can no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the non awareness of emptiness → the 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appearance of action → the appearance of suffering.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 awareness of emptiness → the dis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dis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dis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disappearance of action →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n Mūlamadhyarnaka-kārikā of Nāgārjuna.

The comparison of the two explanations of Sarvāstivāda and Nāgārjuna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shows the following facts. The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the conception of self nature contains the negation of cause and condition, the negation of cause and effect, and the neg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However, Nāgārjuna can explain the 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non-being to all dharmas, but can explain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being to all dharmas.

Therefore,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and for the achievement of nirvāna. Further,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obtained by the awarenes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ll of the dependent originated things can not have self nature of being or non being, because they are non self nature, emptiness, provisional name, and the middle way. The disciplinant becomes aware that all things are non self nature and empty, similar to a barren woman's daughter by the awareness that all things are output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nd through that awareness, the amplification cation, the mistaken idea, the affliction, the action disappear one by one; his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s last.

The relation of the three kinds of theories on dependent origination, the awareness of emptiness, and nirvana is as follows. The highest truth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become known b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 which are suggested by the mundane truth. Also, the disciplinant becomes more clearly aware of the highest truth by the eightfold negation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suggested by the highest truth. Finally, he obtains auspicious nirvana by clear awareness, in which amplification, mistaken idea, affliction, action, and the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

Keywords: 용수; 중송; 월칭; 청목; 고통의 발생; 고통의 소멸; 유자성론; 무자성 론; 세 종류의 연기설; 십이연기; 상호의존적 연기; 팔불연기; 공성; 열반; 희론; 분별; 승의제; 세속제
Keywords: Nāgārjuna; Mūlamadhyarnaka-kārika; Candrakīrti; Piṅgala; appearance of suffering; disappearance of suffering; self nature theory; non self nature theory; three kinds of theories on dependent origination;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terdependent origination; eightfold negation dependent origination; emptiness; nirvāna; amplification; mistaken idea; highest truth; mundane tr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