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논문

밀교경론에 나타난 번뇌론

김영덕
Young-duk Kim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 Copyright 2012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초기불교 시대부터 번뇌에 대하여 다양한 이 론 과 함께 이를 끊을 수 있는 해탈의 수행이 제시되어 왔다. 대승불교에서는 煩個卽音提라고 하여 번뇌상태에서 보리로 전환하는 질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더욱이 밀교에 이르러서는 번뇌를 퇴치하여 해탈에 이른다는 견해오ᅡ, 번뇌즉보리라는 전통적인 불교학의 번뇌론을 계승함에서 더 나아가 번뇌를 활용하여 번뇌를 극복한다는 발상이 보이고 있다. 이것을 정리하면 끊어야 할 번뇌에 대한 교설, 번뇌즉보리의 발상 전환, 번뇌 자체를 방편으로 삼는다는 세 가지 방향이 성립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방향은 번뇌를 계박으로 보는 견해이다. 밀교에서 끊 어 야 할 번뇌를 구체적으로 보인 『대일경』에서는 중생의 妄心으 로 60심을 들고 있다. 『대일경소』에는 그 妄心의 구체적 내용과 함께 이를 치유할 수 있는 수행법을 설한다. 이를 통해서 세간의 善心을 증장시키고 마침내는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그 고장에 설해지는 것이 3却을 초월하는 斑切行으로서 磨妄執 , 細妄執 , 極細妄執을 차례대로 초월하여 마음의 實際에 들어가게 된다.

둘째 방향은 번뇌즉보리로 보는 견해이다. 번뇌를 없애는 길은 모든 법은 공이라는 것을 철저히 관하고, 번뇌도 필경에 공이고 無相인 것을 알아서 초월하는 것이다. 공한 모든 법은 본래 청정하므로 번뇌 또한 청정하다. 그러나 밀교에서 설하는 번뇌에 관한 교법은 사상과 언어의 相으로 표현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加持를 통하여 적극적인 用의 입장에 서게될 때에 도리어 我執과 我所執을 타파하는 구조로서 성립하게 된다. 즉 心的인 번뇌에 대해 身體的·作用的인 三密의 개념으로 구체적으로 전환시킨 점에 있다.

셋째 방향은 번뇌를 중생구제를 위한 방편으로 보는 견해이다. 번뇌가 바로 깨달음이라는 자각에서 삼밀이라는 구체적 작용으로 전개될 때에 번뇌조차도 대비로 펼쳐지는 훌륭한 방편이 된다. 즉 『대일경』삼구법문에서 설하는 구경방편의 단계에서는 탐·진·치를 비롯한 어떠한 번뇌라도 방편의 자량이 될 수 있다. 그리하여 물들은 번뇌로 물들은 번뇌를 다스릴때에 번뇌는 더 이상 번뇌가 아니다. 밀교에 자주 등장하는 분노존 등은 바로 업장이 깊고 무거운 자에게 그 업장을 자각케 하도록 보여주는 자비방편으로서 染으로써 染을 對治한다는 밀교의 독특한 발상을 알려준다.

Abstract

Since the Early Buddhist period, various theories have been brought up regarding worldly desires and the practices of emancipation in order to renounce such worldly desires. In Mahayanist Buddhism, the qualitative change to convert to Bodhi from the condition o f worldly desires is shown by saying that worldly desires are indeed enlightenment. In esoteric Buddhism, the idea of overcoming the worldly desires is discovered by using it along with the traditional Buddhist theory of worldly desire : hence returning to the world of mankind after the conquest of the worldly desire. In brief, three directions of ideas are formed : that is, the teachings regarding the worldly desire to be renounced, the conversion of the idea that worldly desires are indeed enlightenment, and the idea of using the worldly desires as an instrument.

The first direction is the view of considering the worldly desire as binding. Vairocana Sūtra, which shows in detail as to the worldly desire to be renounced, presents 60 mental phenomenon as the absurd mind of the mankind. “The commentary of Vairocam Sūtra″ offers the method of practices to renounce worldly desires along with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worldly desires. Through this, the virtuous mind of the mundane world is developed, which finally leads to enlightenment. The teaching of this process include yogic practices in order to rise above the three kalpa. It gets into the actual state of mind by rising above the gross delusion, fine delusion, and the very fine delusion, respectively.

The second direction is the view of considering the worldly desire as enlightenment. Similar to another study, the “Study on the Sutra of esoteric Buddhism” often presents the phrase denoting that the worldly desire is indeed enlightenment. Therefore, Bodhi (enlightenment) can be obtained through cultivating the nature of the worldly desire. A way to renounce the worldly desire is by observing thoroughly that all things are empty, and through understanding that the worldly desire is also empty and impermanent. All things that are empty is originally pure : thus, the worldly desire is also pure. The teaching regarding the worldly desire in esoteric Buddhism established the structure that destroys egoistic attachment when it is not only expressed as the concept of idea and language, but is also actively used. In other words, regarding the worldly desire in mind, it is concretely converted to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oncept of the three secrets.

The third direction is the view of considering the worldly desire as salvation of mankind. When the self-awareness regarding that the worldly desire is indeed enlightenment is developed to the concrete function, the worldly desire becomes the great instrument of compassion. Specifically, the teaching of Vairocana Sūtra shows that any worldly desire can be an instrument. The worldly desire, viz., greed, anger, and stupidity, which should be removed in Buddhism, can appear as an instrument for salvation of mankind. Therefore, when the worldly desire of being polluted is controlled by the worldly desire of being polluted, then it is not the worldly desire anymore.

Keywords: 煩’個; 60心; 加 待; 音提; 三密; 方使
Keywords: worldly desire; Vairocana Sūtra; 60 mental phenomenon; three secrets; Bodhi(enlightenment); salvation of mank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