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논문

가람의 한국민속적 요소와 의미:

오인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중앙승가대학교 수행학부 조교수

© Copyright 2014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외래종교와 토착종교와의 습합은 어떠한 문화적 변용을 초래하는가? 이는 두 분야 연구자들의 공통된 연구주제일 것이다.

불교와 한국민속은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보완하며 전승되어온 것인가. 이에 대해서 홍윤식은 불교민속, 민속불교라는 두 가지 개념을 설정하고, “이 양자가 구분되는 것은 전자는 불교적 교리체계 속에 또는 교리체계에 의하여 민간신앙적 요소와 그 습속 등을 수용하고있는 것이라면, 후자는 민간신앙의 체계 속에 불교를 수용하고 있지 못하는데 차이점이 발견된다.”51)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