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논문

금산사 大寂光殿 五如來 圖像의 淵源과 傳統:

강소연 1
Kang Soyon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중앙승가대학교
1JungAng Saṅgha University

© Copyright 2016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본 논고에서는 전북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에 봉안된 五如來 존상의 도상 조합에 대한 형식적 분석과 통사적 고증을 진행하였다. 금산사대적광전 오여래를 중심으로 한 이 같은 고찰을 통해, 통합적 존상의 연원과 그 전통적 맥락을 밝히는 데 본 논고의 목표가 있다. 오여래의 조각상 조합의 사례는 본 금산사 대적광전의 것이 유일한 것이기에 현존하는 佛畫에서 유사 작례를 선별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금산사 대적광전에는 조각과 불화, 즉 오여래 조각상과 오여래 탱화가 하나의 총괄적인 조합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국내 현존하는 유일한 사례로 잘 알려져 있다. 과연, 이러한 통합적인 조합의 전통이 기존에 존재하였는가, 비교할 만한 유사한 조형 사례는 없는가, 단순한 合奉인가 아니면 의도적 사상적 통합인가, 또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신앙적 영향에 따른 결과인가 등 많은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이 같은 물음에 대한 학술적 기반 및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오여래 전통의 始原的 사례로서 조선 초기 왕실발원 작품인 <五佛尊圖>(15세기 추정)를 들어, 삼불과 삼신불이 어떻게 형식적 통합을 이루었는지 살펴보았다. 이어서 조선후기 작례로 경기도 七長寺 掛佛幀(五佛會圖, 1628년)과 경북 浮石寺 <靈山會上圖> 掛佛幀(1745년)에 나타난 오여래의 조합을 예로 들어 그 융합적 전통이 면면히 이어져 왔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삼신불과 삼불, 그리고 다불의 도상의 조합 사례들을 문헌과 사료를 통해 검토하여, 조선시대의 경향이 어떻게 다른지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조선 초기의 교종과 선종의 통합이라는 사상적 배경 하에, 불교 조형의 양대 산맥인 삼신불과 삼불이 어떻게 하나로 통일된 조합을 이루었는지 그 맥락을 밝혀보았다. 그리고 금산사 대적광전에 봉안된 오여래 조각상과 오여래 후불탱은 현존하는 唯一無二한 장엄 사례로서, 이러한 융합적 전통이 어떻게 사찰의 主法堂으로 수용되었는지 보여주는 실로 귀중한 사례라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그리하여, 한국불교의 圓融的 또는 會通的 特徵이 오여래의 통합적 조합이라는 한국 불교미술의 독특한 형태로서 나타나고 있음을 밝혀보았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ove the origin and tradition of the Oyeorae 五 如來(Five-Buddha) combination enshrined in Daejeokkwangjeon Hall Geumsansa Temple, Gimje, North Jeolla Province. Since the Oyeorae 五 如來 in five sculptures and five paintings as one set in Daejeokkwangjeon Hall is an unique example remaining, comparative analysis was only possible by selecting similar examples in existing Buddhist Painting of Joseon Dynasty. Whether this kind of combination of five-Buddha existed beforehand or not? Are there any comparable figurative artworks? Is this phenomenon arose just by simply placing the figures together due to the lack of shrine after the war? Was it the result of the religious demands of the time period? Many questions arise. In the study, I sought to establish a academic foundation for such questions.

The first example of multiple combination of Buddha images can be found in the <Obuljondo 五佛尊圖> of the early Joseon Dynasty (15th century estimated) in which I explored how Three-Buddha (三佛: Sakyamuni · Amitābha · Bhaisajyaguru) and Trikaya(三身佛: Dh armakāya · Sambhogakāya ·Nirmān·akāya) achieved formalistic integration. Following this first masterpiece, in Gwaebul paintings of late Joseon period such as <Obulhoedo 五佛會圖>(1628) of Chiljangsa temple of Gyeonggi province and <Yeongsanhoesangdo 靈山會上圖> (1745) of Buseoksa temple of Gyeongbuk province, combination of five-Buddha can be found. And through the unified images of five-Buddha of these examples suggested we could confirm the continuation of the integrated tradition of the Buddhist body.

Through the above verific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yeorae 五如來 in five sculptures and five paintings as one set in Daejeokkwangjeon Hall is such an unique example of the existence and is a truly valuable sample that shows how the convergence tradition was continued and accepted as the majestic figure decorating the main shrine of the te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