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청장엄으로 표현한 불보살의 세계: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불전건물의 단청장엄은 자연의 숲에서 지혜를 빌린 엄숙한 장식이다. 복잡하고 다양한 자연의 패턴에서 조화롭고 세련된 색채와 형태로 재구성 한 인문예술적 산물이 단청이다. 종교적 단청장엄이 가장 숭고하게 결집한 곳이 법당 천정이다. 시대요구에 따른 가구구조의 역동적인 짜임은 천정형태에 보다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냈다. 고려시대와 조선전기에 지붕의 내부 뼈대가 노출되어 있던 천정은 전란 후 조선중기에 이르러 우물 井자의 울거미에 반자를 덮은 우물반자, 혹은 빗반자로 결구한 천정형태로 나타났다. 층급 우물천정과 빗반자-우물천정이 대표적인 형태로 등장했다. 새롭게 등장한 우물천정은 법당 내부 단청장엄에 커다란 화면을 제공하였으며,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종교적 교의의 표현에 주의 깊은 세심함을 요구했다. 행과 열로 짜맞춘 우물반자 칸칸은 불교의 광대무변의 세계관, 혹은 우주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데 대단히 유용한 장치로 활용할 수 있었다. 우물반자 한 칸 한 칸을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로 충만한 불국토로 경영하는 슬기를 발휘한 것이다. 몇몇의 문양을 반복하고 천정구조의 기하학적 대칭을 활용해서 천정 전면을 거대한 불국정토 만다라로 탁월하게 경영했다.
천정을 장식한 단청장엄의 핵심 질료는 연화(蓮華)와 범자(梵字)였다. 범자 한 자 한 자는 번역하지 않는 진언, 곧 진리를 상징하고, 부처님의 ‘신구의 삼밀(身口意 三密)’의 총지였다. 그래서 부처님의 씨앗, 종자(種子)로 인식했다. 천정의 우물반자 칸칸에 팔엽연화, 혹은육엽연화를 그린 후, 낱낱의 꽃잎마다 그 범자종자를 심었다. 그 단청은 목적성을 향해 가는 질서 있는 거룩한 의식에 가까웠다. 왜냐하면 새로운 형식의 부처, 곧 범자종자불을 천정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내밀히 봉안하였기 때문이다. 그것은 입체적 조각으로 표현한 불상이나 평면적 회화로 표현한 불화와는 또 다른 형식을 갖춘 부처님의 나투심이었다. 범자 진언의 내밀함만큼이나 상징성의 아우라는 깊고도 심오했다. 범자 종자를 통해 우물반자 칸칸에 부처님의 색과 소리, 향, 광명을 심었다. 천정에 삼존불, 오방불, ‘옴 마니 파드메 훔’, 팔방의 불보살, 천불로 꽃이 피듯 나투셨다. 대칭과 반복을 통해 거대한 종자만다라(種子曼茶羅)가 펼쳐졌다. 천정의 단청세계는 궁극적 으로 진리와 자비로 가득한 화엄의 연화장세계로 구현됐던 것이다.
Abstract
Dancheong meaning the work of decorating the Buddhist buildings by painting with brilliant colors is the solemn art that borrowed the wisdom from nature's forest. Dancheong is the artistic and cultural artifact that is reconstructed in harmonious and sophisticated colors and forms in complex and diverse natural patterns. Dancheong is most nobly concentrated in the ceiling of the Buddhist buildings.
The dynamic frame of the house and furniture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ages led to more changes in the ceiling form. In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Joseon Dynasty, the inner skeleton of the roof was the ceiling itself. However, in the mid-Joseon Dynasty after the Imjin war, appeared a ceiling where the frames whose form was like 井(the Chinese character meaning the well) were set up evenly or slantly under the roof and each vacant cell in the frame was covered with a board.
This new ceiling provided a big space for Dancheong and demanded careful attention to the expression of religious doctrine using various subjects. Each board in the cell of the frame arranged in the rows and columns could be used as a very useful device for symbolically expressing the vast world view of Buddhism and the cosmos. Also, each pattern on the board could express the wisdom of the world filled with Buddha’s truth and mercy. Furthermore, by repeating several patterns and utilizing the geometric symmetry of the ceiling structure, the whole ceiling looked like the magnificent Buddhist paradise of mandala.
The main subjects of Dancheong were lotus flowers and Sanskrit characters. Each character of Sanskrit represented the truth itself that couldn't be translated and the whole knowledge of Buddha. That’s why this Sanskrit character in the center of each pattern was recognized as the seed of Buddha. After painting the eight petaled lotus or the six petaled lotus on each board, they planted this Sanskrit character on the center of the lotus as the seed of Buddha. The pattern was like an orderly holy ritual expressing the ultimate purpose of Buddhism. This is because the new type of Buddha, Sanskrit character Buddha, was enshrined in a special space, the ceiling. It was a new kind of Buddha born as a fig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Buddha expressed as the form of the statue or the painting. The symbolistic aura was as profound as the subtle implication of Sanskrit character.
In this Sanskrit character as the seed of Buddha, they planted the Buddha’s color, sound, fragrance, and light, and made three respectable Buddhas, five direction Buddhas, om-ma-ni-ban-me-hum, eight direction Buddhas, and thousand Buddhas be born on the ceiling as if all the flowers were blooming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 technique of symmetry and repetition, the world of huge seed mandala was revealed. In conclusion, Dancheong in the ceiling ultimately embodied the Buddhist land of perfect bliss called the Hwa-eom world filled with the truth and mercy of Budd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