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중등학교 죽음교육 현황과 과제 : 불교종립학교를 중심으로*

김은영 **
Eunyoung Kim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HK Research Professor, Academy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 Copyright 2019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28, 2019; Revised: Nov 22, 2019; Accepted: Dec 06, 2019

Published Online: Dec 31, 201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사회 문제에 대한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적극 인식하여 학교교육에서의 실천방안을 참구하였다. 저출산과 고령화는 모두 생명과 깊은 연관이 있는 현상이다. 그리고 생명은 죽음과 깊은 연관이 있다. 그렇다면 저출산과 고령화 시대의 청소년 대상의 죽음교육이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죽음교육이란 죽음의 의미를 평소에 미리 생각해 보고, 보다 의미 있게 살도록 돕는 교육이다. 아직은 죽음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할 기회가 적은 청소년기에는 생로병사와 상실, 슬픔 등에 대해 배우고 토론하면서 삶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특히 죽음교육이 적용될 수 있는 종교교육이 이루어지는 불교계 종립학교의 경우를 통해 보편적 현상을 조망하고, 새로운 해결방안을 사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보았다. 더불어 제도적 차원에서 청소년 죽음교육은 국가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중등학교 죽음교육의 현황은 ‘정규 교과’ 시간과 ‘교과 외’ 시간의 형태를 중심으로 탐색할 것이다. 현황 진단을 통해 앞으로의 중등학교 죽음교육이 저출산·고령화사회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죽음교육의 교과교육 편제가 그것이며, 둘째 자유학기제 활용 등을 통한 비교과교육으로서의 죽음 교육이 그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consider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n the issue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nd considered practical measures in school education. Low birth rate and aging problems are both closely related to life. And life is deeply related to death. If so, death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the era of low birth rate and aging may be one alternative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Death education is that helps people think about the meaning of death in advance and help them live more meaningfully. In adolescence, when there is still less opportunity for direct contact with death,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to learn about and discuss lifelong soldiers, loss, and sorrow to form various values for life and death.

In particular, through the case of Buddhist schools, where religious education to which death education can be applied, we looked at the common phenomena and looked for clues to think about new solutions. In addition, at the institutional level, youth death educa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status of secondary school death education will be explored mainly in the form of regular subjects and out of the subject. Through the diagnosis of the current situation, the following tasks were presented to mak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death education an alternativ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Firstly, it is the organization of subject education in death education. secondly, death education as comparative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Keywords: 죽음교육; 학교교육; 종교교육; 불교종립학교; 저출산 고령사회
Keywords: Death Education; School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Buddhist Schools; Low Birth and Aging Society

Ⅰ. 서론

저출산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고령화란 무엇인가? 그리고 왜 저출산과 고령화가 문제가 되는가? 저출산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일정수준보다 아이를 적게 낳는 현상, 즉 합계 출산율1)이 저하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고령화란 현상에 대한 정의는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라 총인구 중에 차지하는 고령자(노인)의 인구비율이 점차로 많아지는 것, 또는 한 사회에서 고령자 비율이 높은 상태를 뜻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음을 인지하고,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종합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2003년 10월 대통령 직속 사회통합기획단 내에 인구고령사회대책팀을 만들면서 그 대안을 국가 차원에서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후 2004년 2월 9일 대통령 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로 개편하고, 낮은 출산율과 급속한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예측하고,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및 지속적인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저출산·고령사회 종합대책(5개년 기본계획, 연도별 시행계획)의 수립과 평가를 심위하기 위해 2005년 6월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였고, 같은 해 9월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족했다. 즉, 우리 사회가 고령화뿐 아니라, 저출산이라는 문제에도 함께 직면하고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2015년 2월 6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회의에서 정부는 합계출산율을 현재 1.19명에서 1.4명으로 올리기 위해 ‘만혼추세 완화’, ‘출산양육에 대한 지원강화’ 등을 담은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을 발표했다.

출산율과 고령화 비율은 경제, 교육, 복지 등 한 국가의 여러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의 수립배경을 참조하면, 제1·2차 기본계획 추진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과 급격한 고령화 속도를 개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실효성 있는 새로운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인구절벽 위기 대응의 마지막 골든타임인 향후 5년을 저출산 극복의 전기로 만들 필요를 지적하고 있다.2)

저출산과 고령화는 모두 생명과 깊은 연관이 있는 현상이다. 그리고 생명은 죽음과 깊은 연관이 있다. 그렇다면 저출산과 고령화 시대의 죽음교육이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본고에서는 죽음교육이 향후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탈피할 수 있는 자그마한 희망이 되기를 바라며, 그 과제를 제안해보고자 한다. 다만 그 범위를 전 사회로 확대해서 살펴볼 경우, 광범위하고 현학적인 논의에 그칠 수 있으므로 현 대한민국의 중등학교, 특히 불교계 종립학교에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수한 집단의 경우를 통해 보편적 현상을 조망하고 새로운 해결방안을 사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중등학교 죽음교육에 대한 그동안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 문화의 유행 이후, 살아온 날을 아름답게 정리하고 평안한 삶의 마무리를 일컫는 웰다잉(well-dying)이라는 한 단계 더 나아간 사회적 인식이 발전하면서 죽음에 대한 다양한 서적들이 출간되었다. 그 중 청소년 죽음교육에 대한 해외 사례의 내용이 기술된 서적도 출판되었다(차미영, 2006). 청소년 죽음교육과 관련한 학위논문도 여럿 발표되었는데, 중등학교 교과서에서의 생명윤리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지만(이필연, 2013; 한진아, 2007), 한 단계 나아가 직접 죽음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도입을 시도한 연구물도 발표되고 있다(문현공, 2016a, 2016b). 기존의 연구들은 청소년 자살예방과 관련된 논문들의 비중이 높은 편이며, 종교와 관련하여 죽음교육에 접근하는 내용들도 일부 발표되었다.

선행연구들을 검토해보면, 우리나라의 청소년 죽음교육에 대한 논의는 그 철학적 의미 고찰에서부터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것까지 다양한 층위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제도적 차원에서의 검토에 대한 연구는 아직 기초단계로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제도적 차원에서 청소년 죽음교육을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중등학교 죽음교육의 현황은 ‘정규 교과’ 시간과 ‘교과 외’ 시간의 형태를 중심으로 탐색할 것이다. 현황 진단을 통해 앞으로의 중등학교 죽음교육이 저출산·고령화사회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Ⅱ. 중등학교에서의 죽음교육 현황

중등학교 죽음교육의 현황은 ‘정규 교과’와 ‘교과 외’ 시간 형태의 교육 유형을 통해 각각 고찰해보려 한다.

1. 교과교육 내 죽음교육
1) 제도적 차원: 국가교육과정

정규 교과시간이란 국가교육과정에 의해 편제된 수업 시간을 뜻한다. 국가교육과정이란 “국가가 공교육(학교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 등을 문서화하여 공식적으로 공표한 계획”을 의미한다. 교육과정(curriculum)은 학교교육 초기에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공부해 나가는 책의 내용들과 그 학습 순서 등을 나타내는 ‘학습과정 또는 교수요목(course of study)’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가 제공하는 경험의 총체 혹은 학생이 경험하는 총체이며, 이는 학교에서 계획하고 실천하는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교육행위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4-5).

2016년 현재 대한민국의 국가교육과정 차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대한민국 교육부가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을 위해 고시하였으며, 2014년 9월 24일에 총론의 주요 사항을 발표했다. 2014년 9월에 교과 교육과정 개발 착수에 들어가 2015년 9월에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을 고시하고, 2017년 3월 및 2018년 3월에 순차적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적용된다.3)

중등과정에 해당하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및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부칙개정))』 등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는 교육과정의 성격, 구성의 방향 등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중 ‘죽음’, 혹은 ‘삶의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다만, 각론(각 교과목)에서 죽음교육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다. 고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로 나누어 보겠다.

(1) 고등학교

고등학교의 경우, 『고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4])』에서 ‘죽음’을 다루고 있는 교과는 다음과 같다.

  • ① 도덕과: 일반 선택 과목: ‘생활과 윤리’(‘생명과 윤리’ 영역 中 ‘삶과 죽음의 윤리’)(<표 1>)

  • ② 교양과: ‘철학’: 인간론(<표 2>)

  • ③ 교양과: ‘종교학’: 종교의 세계관(<표 3>)

  • ④ 교양과: ‘보건’: 건강 자원과 사회문화(<표 4>)

표 1.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의 죽음 관련 내용
영역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생명과 윤리 성실 배려 정의 책임 인간의 삶은 출생으로부터 시작하여 죽음으로 마무리되며 출생 및 죽음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들에는 인공임신중절, 자살, 안락사, 뇌사 등이 있다. 1. 삶과 죽음의 윤리 생명의 시작과 끝에서 만나는 윤리는 무엇인가?
① 출생의 의미와 삶의 가치
② 죽음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
• 자기 존중 및 관리 능력
• 윤리적 관점에서 설명하기
Download Excel Table
표 2. 고등학교 ‘철학’ 교과의 죽음 관련 내용
영역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인간론 생존과 실존 • 혼자 사는 것만으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가?
• 타인은 내 삶의 방해물인가, 자기실현의 조건인가?
• 죽음은 삶의 끝인가?*
1. 삶과 죽음의 윤리 생명의 시작과 끝에서 만나는 윤리는 무엇인가?
① 출생의 의미와 삶의 가치
② 죽음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
• 근본적 문제 제기하기
• 반성적 분석하기
• 비판적 평가하기
• 근본적으로 부정하기
• 개념을 맥락화하기
• 논증적으로 정리하기

* ‘인간은 언젠가 죽는다.’라고 했을 때 죽음이란 필연적이지만 부차적인 삶의 숙명인지, 아니면 삶의 자기완성으로서 인간이 주체적으로 대면하는 긍정적 조건인지를 성찰해 본다.

Download Excel Table
표 3. 고등학교 ‘종교학’ 교과의 죽음 관련 내용
영역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기능
종교의 세계관* 종교의 인간관 • 각 종교는 특수한 구도와 개념으로 인간을 설명한다. • 설명하기
• 비평하기
• 비교하기
• 비판하기
• 실천하기
종교의 역사관 • 각 종교는 특수한 구도와 개념으로 역사를 설명한다.
종교의 자연관 • 각 종교는 특수한 구도와 개념으로 자연을 설명한다.

* 대부분의 종교는 인간의 존재 자체를 설명하는 관점, 삶과 죽음뿐 아니라, 세계와 우주의 변화를 설명하는 관점, 자연과 생명을 설명하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 고통, 선과 악, 삶과 죽음, 운명과 자유 등 인생의 근본 문제를 이해한다 … 여러 종교의 생사관과 구원관 및 그 특징을 이해한다 … 여러 종교의 생명관과 그 특징을 이해한다 … 인간은 종종 고통, 선과 악, 삶과 죽음, 운명과 자유 등 존재 자체와 관련된 문제 상황에 직면한다. 대부분의 종교는 특정한 구도와 개념으로 이런 문제 상황뿐 아니라, 인간 존재 자체를 설명하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관점은 역사적으로 종합되고 체계화된 사유와 경험의 산물이며, 인간의 존재 자체에 대한 성찰의 계기가 된다.

Download Excel Table
표 4. 고등학교 ‘보건’ 교과의 죽음 관련 내용
영역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정서·정신 건강 • 감정과 정서를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고 조절하는 것은 대인 관계 및 정신 건강의 기초를 이룬다. •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
• 불안·우울 등의 감정 대처
• 자살과 위기관리*
• 정신 건강 문제와 편견
• 옹호하기
• 조사하기
• 탐색하기
• 제시하기
• 이해하기
• 고안하기
• 적용하기
• 평가하기
• 참여하기
건강 자원과 사회 문화 건강 문화 • 문화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생활환경·미디어·신념·관행 등은 건강 문화 형성뿐만 아니라 개인·지역 사회·국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 건강 신념·관행·미디어
• 헌혈과 장기 기증, 장례 문화*
• 문화적 다양성과 건강
• 이해하기
• 평가하기
• 제시하기
• 옹호하기
• 적용하기
• 조사·비교하기

* 중학교의 정서·정신 건강 주요 내용 요소인 자아존중감 증진, 스트레스와 과몰입, 분노·충동 등 감정, 죽음과 상실의 대한 내용의 연속선상에서 단계적으로 확장된 개념으로 지도할 수 있다 …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다른 다양한 문화 속에서의 헌혈, 장기 기증, 장례 문화 등의 현황을 조사·비교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Download Excel Table

이상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고등학교의 경우 죽음에 대해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생활과 윤리’, ‘철학’, ‘종교학’, ‘보건’ 등 총 4개의 교과에서 죽음과 연관된 단원이 있었다. 하지만 이중 일반 선택 과목인 ‘생활과 윤리’ 교과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는 교양과로서 학교장 재량에 따라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을 수 있는 과목들이다. 즉, 전국의 고등학생들 다수가 배워야만 하는 ‘생활과 윤리’ 과목 외에는 죽음을 배울 수 있는 정규 교과 시간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앞서 말한 교과들의 죽음 교육 역시 해당 교과 내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대단원의 주제가 아닌 중단원 주제나 소단원의 여러 주제 중 하나로 다뤄지고 있을 뿐이다. 물론 그 내용도 개론에 가까운 것으로 저출산·고령화와 연관된 부분은 거의 없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부칙개정인 제2015-80호에서도 이어진다.

(2) 중학교

중학교의 경우, 『중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에서 ‘죽음’을 다루고 있는 교과는 다음과 같다.

표 5. 중학교 ‘도덕’ 교과의 죽음 관련 내용
영역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자연 · 초월 과의 관계 책임 환경친화적 삶과 과학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지향하고, 윤리적 성찰을 통해 삶과 죽음의 의미와 마음의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 • 자연과 인간의 바람직한 관계는 무엇인가? (자연관)
• 과학 기술과 도덕의 관계는 무엇인가? (과학과 윤리)
• 삶과 죽음의 의미는 무엇인가? (삶의 소중함)
• 마음의 평화는 어떻게 이룰 수 있을까? (마음의 평화)
• 생명 감수성 고양 능력
  ...
• 전일적 사고 능력
  ...
• 실존적 자각 능력*
...
• 실천성향 및 의지*
  ...
Download Excel Table
표 6. 중학교 ‘보건’ 교과의 죽음 관련 내용
영역 핵심 가치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생활 속의 건강한 선택 정서 · 정신 건강 • 감정과 정서를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고 조절하는 것은 대인 관계 및 정신 건강의 기초를 이룬다. • 자아존중감 증진
• 스트레스와 과 몰입
• 분노·충동 등 감정 수용과 조절
• 죽음과 상실
• 탐색하기
• 이해하기
• 분석하기
• 전략수립하기
• 제시하기
• 토론하기
• 모색하기
• 도출하기
• 설명하기
• 적용하기
• 계획하기
Download Excel Table

이상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중학교의 경우, 죽음에 대해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도덕’ 및 선택과목인 ‘보건’ 등 총 2개의 교과에서 죽음과 연관된 단원이 있었다. 고등학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덕’ 과목 외 죽음을 배울 수 있는 정규 교과 시간은 거의 없으며, 해당 교과 내에서도 주요하게 다뤄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2) 불교종립 중등학교의 교과 내 죽음교육 실시현황: 교과서를 중심으로

앞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교과교육 비중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현재 불교계 종립 중등학교의 죽음교육 현황에 대해서는 국가교육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내용이 있었던 ‘종교’나 ‘철학’ 등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불교계 종립 중등학교 중에서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한불교조계종 관련 학교4)에서는 『종교』 교과서(7차 교육과정 당시 개발) 및 『생활과 철학』 교과서(2009 교육과정 당시 개발)를 종교 교과, 생활과 철학 교과, 창의적 재량활동 교과 시간 등에 사용하고 있다. 미리 밝혀둘 것은 두 교과서 모두 중학교와 고등학교용의 목차가 거의 동일하며, 학령에 맞추어 내용 서술상 난이도를 조절한 차이만 있다. 이런 이유로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해당 교과서 중 죽음과 관련된 내용과 경향은 아래와 같다.

(1) 『종교』 교과서

7차 교육과정 중 ‘종교’ 교과의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죽음과 관련된 부분은 ‘(2) 종교경험의 이해’ 중 ‘우주관, 역사관, 생사관’ 부분이다. 그리고 해당 체계에 상응되는 교과서 목차는 다음과 같다.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생사관’이라는 주제어가 명시되어 있지만, 교과서 목차에서는 죽음에 대한 내용과 교육방향이 확연히 드러나지 않고 있다(<표 7>).

표 7. 제7차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종교(불교)』 (2002) 구성 비교
교양 선택 ‘종교’ 내용 체계: 영역 및 내용 고등학교 종교(불교) 목차
(1) 인간과 종교
• 궁극적인 물음과 문제
• 종교와의 만남과 문제 해결
• 안다는 것과 믿는다는 것
• 종교의 의의와 역할
I. 인간의 삶과 종교
 1. 종교란 무엇인가
 2. 종교적 신념과 이해
 3. 궁극적 가치와의 만남
 4. 현대 사회와 종교
(2) 종교 경험의 이해
• 여러 가지 인생 문제
• 우주관, 역사관, 생사관
• 경전과 종교 규범
• 종교 의식과 종교적 실천

고 있으며, 현재 총 13개 법인 29개교(대학교 1, 고등학교 14, 중학교 13, 초등학 교 1)가 속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이외의 불교계 중등학교는 다음과 같은데, 대한불교진각종 소속 4개교와 대한불교총지종 소속 1개교가 있다.

Download Excel Table
(2) 『생활과 철학』 교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2012년에 발행된 『생활과 철학』 교과서의 목차는 <표 8>과 같다.

표 8. 『고등학교 생활과 철학』(2012) 목차
Ⅰ. 철학의 본질과 성격
 1. 철학이란 무엇인가
 2. 철학적 삶의 의미
 3. 철학의 분야
 4. 철학과 일상생활
Ⅱ. 무엇을 위한 삶인가
 1. 욕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마음이란 무엇인가
 3.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4. 무엇을 위한 삶인가
Ⅲ. 인간과 사회
 1. 인간의 본성에 대한 견해들
 2.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3. 자유와 평등
 4. 정의란 무엇인가
Ⅳ. 나와 세계의 이해
 1. 나를 움직이는 마음과 육체
 2. 행복은 자유의지인가, 운명인가
 3. 시공간의 여행, 그리고 인생
 4. 태어남과 관계 맺음
Ⅴ. 인간과 자연
 1. 파괴되는 환경, 위기의 인간
 2. 자연을 보는 눈
 3. 과학의 두 얼굴
 4. 역사는 어디로 가는가
Ⅵ. 언어와 예술
 1. 언어와 문자
 2. 논리적인 생각과 말하기
 3. 문학이란 무엇인가
 4. 예술과 문화
Ⅶ. 어떻게 살 것인가
 1. 판단과 행동의 기준은 무엇인가
 2. 조화로운 삶, 중도의 아름다움
 3. 내 인생의 미래는 결정되어 있을까
 4. 멋진 삶과 거룩한 죽음
Ⅷ. 현실과 이상
 1. 학업과 학교생활
 2. 미래 사회로의 큰 흐름
 3. 영성 계발
 4. 나의 진로를 찾아서
*부록
 찾아보기
 참고문헌
Download Excel Table

현재 불교계에서 발행하고 사용하고 있는 『생활과 철학』 교과서에도 죽음에 대한 교육 내용 비중이 높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현재 불교계 종립 중등학교에서의 정규 교과 수업에서는 죽음 교육에 대한 제도뿐 아니라, 그 바탕이 되는 인식이나 대책 등도 거의 없다고 진단할 수 있다. 이는 이미 20여 년 전부터 학교의 교과 과정인 종교교육에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실시하고, 죽음에 관한 중고생용 교재가 20여 가지가 있는 독일의 경우와 극명하게 대비된다(차미영, 2006: 353).

2. 교과 외 영역에서의 죽음교육

앞서 정규 교과 시간의 죽음교육 현황에 대하여 제도적 차원과 실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교과 시간 외 중등학교 죽음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한국은 2003년 이래로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자살로 인한 사망률 1위를 고수하고 있다(OECD 2015). 우리 삶의 질을 보여 주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한국의 자살률은 심각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 사망률은 OECD 34개 회원국 중 다섯 번째로 높다. 한국 내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아도 청소년(10∼19세) 자살률은 2001년 3.19명에서 2011년 5.58명으로 57.2% 증가했고, 같은 기간 성인 자살률은 16.96명에서 2011년 33.58명으로 50.5% 증가했다(통계청 2011).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의 중등시기에 해당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죽음교육은 자살예방 교육이 대부분이다. 경남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청소년 생명존중 정신함양 및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2015 청소년자살예방 게이트키퍼교육 강사 양성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의령군보건소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도 관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캠페인과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이외 전국 여러 지역의 관계 기관 등에서 다양한 자살예방 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간단한 기사 검색만으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자살예방이라는 단어에서 해당 교육의 목적을 바로 알 수 있듯이 해당 교육들은 광의의 죽음교육이라는 보다는 사회적 이슈인 ‘자살’이라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예방 차원의 협의의 교육이 대부분이다.

불교계 종립학교의 경우, 교과 외 영역에서의 상시적이거나 체계적인 죽음교육은 아직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Ⅲ. 중등학교에서의 죽음교육의 과제 및 기대효과

청소년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철학적 배경부터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이 연구되고 개발되었지만, 아직 국가교육과정에서 반영되거나 중등학교에서 제대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음을 앞서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앞으로 중등학교의 죽음교육을 위한 과제는 제도적인 도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제도적인 차원에서의 과제를 교과교육과 비교과교육으로 나누어 제시하려 한다.

1. 죽음교육의 교과교육 편제
1) 국가교육과정 내 ‘죽음교육’ 편입

죽음교육이 중등학교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는 국과교육과정에 그 내용이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의 다음 차수 개정예고가 될 때, 이미 죽음에 대해 일부 내용을 담고 있는, ‘윤리’, ‘철학’, ‘종교학’ 등 교과에 죽음교육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이 많아지도록 개정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국가교육과정은 우리나라 전체의 교육방향과 밀접하고 중요한 정책이므로, 첫 시도부터 바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처음에는 유관 교과의 죽음교육 내용의 비중을 늘리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서, 종래에는 ‘죽음’이라는 과목이 개설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죽음’이라는 과목이 국가교육과정에 편입이 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 교과서 개발 등 부차적인 과제들도 따라 발생한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우리나라 종교계 사학에서 종교라는 과목을 1950년부터 자체적으로 가르쳐오다가, 정식으로 국가교육과정에서 ‘종교’라는 과목이 편제된 것은 1980년 초반인 제4차 국가교육과정부터였고, 교원자격증과 정식 교과서가 발행된 것은 1980년 후반부터였다.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과목이 국가교육과정에 편제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그 다음 차례는 죽음교육이 될 수 있도록 관계자들의 장기적인 노력과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2) 창의적 체험활동 실시

앞서 제시한 장기적 과제 외 지금 현장에서 죽음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제도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있다.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와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앎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심신을 조화롭게 발달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교과 이외의 활동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초·중등학교 학생들이 건전하고 다양한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나눔과 배려를 실천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개인의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신장하여 창의적인 삶의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되, 학생의 발달 단계와 교육적 요구 등을 고려하여 학교 급별, 학년(군)별, 학기별로 영역 및 활동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하되, 학생의 발달 단계와 교육적 요구 등을 고려하여 학교 급별, 학년(군)별, 학기별로 영역 및 활동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교육부, 2015b: 1589).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의 주체는 학교이다. 학교장과 운영위원회와 협의하면, 준비를 통해 당장 다음 학기부터라도 죽음교육과 관련된 창의적 체험활동을 시작할 수 있다. 중등학교 내에 죽음교육 관련 동아리를 개설할 수도 있고, 봉사활동도 조직할 수 있으며, 진로 교육도 가능하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죽음교육을 연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시기이다.

3) 인성교육진흥법 연계

인성교육진흥법이란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을 의무로 규정한 법으로 2015년 7월부터 시행되었다. 인성교육이란 자신의 내면을 가꾸고 타인이나 공동체와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인성교육진흥법에 따라 인성교육에 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해 시행하는 한편, 학생의 발달 단계와 학교 상황에 적합한 인성교육 시책을 마련해야 한다. 인성교육진흥법에서는 인성교육의 기본방향을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모두 장려되고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해 장기적 차원에서 계획되어야 하며, 다양한 사회적 기반을 활용해 전국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는 세 가지로 규정한다.

교육부 장관은 『인성교육진흥법』에 따라 인성교육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종합계획에는 인성교육의 목표나 계획, 홍보, 재원조달·관리방안, 핵심 가치와 덕목 등이 포함된다. 지방자치단체 교육감은 종합계획에 따라 연도별 인성교육시행계획을 수립해 교육부 장관에게 통보한다. 교육부 장관과 교육감은 종합계획이나 시행계획을 수립할 때 공청회를 열어 시민과 전문가에게 의견을 듣고 타당할 경우 계획에 반영해야 한다. 해당 공청회에 죽음교육 관련 단체나 학자들이 참석하여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내고, 이후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교육부 장관과 교육감은 1년마다 인성교육 활동에 대한 평가를 시행한다. 교사는 인성교육 관련 연수를 일정 시간 이수해야 하며,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 등 교원 양성기관 역시 인성교육 과목을 필수로 개설해 운영해야 한다. 중등학교 교사가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인성교육과련 연수의 주제는 죽음교육과 관련해서 개설하고, 교원양성기관의 인성교육과목에도 죽음교육 내용이 편제되도록 접근해야 한다.

2. 비교과교육으로서의 죽음 교육

학교의 교과교육 외 비교과교육으로서의 죽음교육의 방법으로는 다음의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자유학기제 활용

자유학기제란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토론·실습 등 학생참여형으로 수업을 운영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제도이다.5) 올해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하여 죽음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국가 차원의 지원을 받아서 운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은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주관하는 ‘2016년 고교교육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우리는 호모필름쿠스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대학도서관 사서 직업체험프로그램도 운영하였다. 같은 대학 내 생사문화산업학과에서도 관련 제도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을 모색한다면 중등학교 죽음교육의 새로운 역할 모델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 죽음교육 편제

현재 제3차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에 중등학교 학령기와 관련한 대책은 청소년 한부모 전용시설, 『초·중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초등돌봄교실, 중등교육 양성규모 축소 등이다(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5: 73, 85, 172). 학교에서의 교육 내용과 관련된 제도나 계획은 없는 것이다.

해당 기본계획 수립 참여자 명단을 살펴보면(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5: 200-207), 죽음교육과 관련된 전문가도 없다. 2020년 이후 새로이 발표될 제4차 계획을 수립한 위원에 죽음교육 관계 기관이나 전문가가 참여하여 중등학교 청소년 대상 죽음교육이 저출산·고령화사회에 어떠한 긍정적인 역할을 미칠 수 있는 연구하고, 정책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한 대안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위원회 구성원 선출 과정, 관련 공청회에 죽음교육 관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Ⅳ. 결론

‘죽음교육’이란 죽음의 의미를 평소에 미리 생각해 보고, 보다 의미 있게 살면서 스스로가 삶의 주인이 되어 죽음이 찾아오더라도 자연스럽게 맞이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교육이다. 아직은 죽음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할 기회가 적은 청소년기에는 생로병사와 상실, 슬픔 등에 대해 배우고 토론하면서 삶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죽음교육은 단순히 죽음에 대해 준비하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살펴보며 가치 있게 살아가도록 하는 생명의 교육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죽음교육은 평상시에 죽음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고, 삶의 가치를 생각해 보는 교육이다.

미국, 일본, 영국,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 등 해외 각국의 경우, 학교 정규과목에 죽음교육을 도입해 어렸을 때부터 죽음에 대한 이해를 도모시킨다고 한다. 중·고등학교 죽음교재가 20종이 넘는 독일, 유치원부터 연령별 커리큘럼과 학습목표가 있는 미국 등 외국의 경우에는 죽음교육이 매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청소년에 대한 죽음교육 제도가 전무한 실정이다.

죽음교육이란 단순히 스스로의 생명에 대해서만 고찰하도록 하는 1차적인 목표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자기를 넘어 타인과 사회 전체의 죽음과 삶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중등학교 시기의 죽음교육이 단시간 내에서는 스스로에 대한 자살예방 등의 개인적 효과가 있겠지만, 이후 인생에 있어 생명존중 등 성인으로서 타인과 사회와의 연대의식을 통한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함양함으로서 간접적으로나마 저출산ㆍ고령화 시대의 험한 기로를 헤쳐나갈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불어 이를 위한 실천적 학술활동과 활발한 현장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그 단초를 불교계 종립학교가 이끌어가길 기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명현상에 대한 사회적 이해가 깊어지고, 더 나아가 저출산ㆍ고령화라는 사회문제 해결의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Notes

* 본 논문은 2016년 12월 13일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부설 생사문화산업연구소에서 개최한 제3회 학술세미나 <고령화 저출산 시대의 웰다잉 및 죽음교육의 과제>에서 발표된 연구를 수정·보완한 것임.

1) 출산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단순한 지표는 보통 출생률이다. 보통 출생률은 조출생률이라고도 부르며, 인구 1,000명당 1년 동안의 출생아 수를 비율로 나타낸다. 이 지표는 남녀가 포함된 전체 인구에 대한 일 년 동안의 출생 빈도를 측정한 것이기 때문에 가임 여성이 출산하는 비율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합계 출산율 지표를 사용한다. 합계 출산율은 출산 가능한 여성의 나이인 15세부터 49세까지를 기준으로, 한 여성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자녀의 수를 나타낸다. 국가별 출산력 수준을 비교하는 주요 지표로 이용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연령별 출산율의 합계, 예를 들어 지난해 만 30세 여성이 낳은 아이의 수를 전체 만 30세 여성의 수로 나누어 연령별 출산율을 산출한 다음 이렇게 계산한 각 연령별 출산율을 모두 더하면 합계 출산율이 된다. 이 경우 전체 여성 수는 미혼·기혼을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과 같이 혼인이 출산의 전제 조건으로 작용하는 국가에서는 미혼 여성이 늘어날수록 출산율이 떨어진다.

2) 합계출산율은 1.3명 미만에서 10년 이상 정체되고, 노인빈곤율도 OECD 최상위 수준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2017년부터, 고형사회 진입은 2018년으로 2020년부터 인구절벽 위기 대응을 위해 전 사회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5: 8).

3) 적용 연도(예정).

3) 2017년 3월 1일: 초등학교 1, 2학년.

3) 2018년 3월 1일: 초등학교 3,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3) 2019년 3월 1일: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3) 2020년 3월 1일: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4)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종립학교들은 불교교육연합회라는 단체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총 13개 법인 29개교(대학교 1, 고등학교 14, 중학교 13, 초등학교 1)가 속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이외의 불교계 중등학교는 다음과 같은데, 대한불교진각종 소속 4개교와 대한불교총지종 소속 1개교가 있다.

5) 운영 학교: (’13) 42교 → (’14) 811교 → (’15) 2,551교 (79.6%) → (’16) 3,204교(100%) 전면시행.

참고문헌

1.

강기선. 2014. “생명윤리와 불교의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45: 1-28.

3.

경북교육청. 2016. 『(고등학교) 종교학』. 파주: (사)한국검인정교과서.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5.

교육부. 2012. 『고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4])』.

6.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7.

교육부. 2015b. 『고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

8.

교육부. 2015c. 『고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4])』.

9.

교육부. 2015d.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10.

교육부. 2015e.『고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3])』.

11.

김용표. 2004. “불교에서 본 죽음과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19: 56-79.

12.

김정희. 2013.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비행예방: 사회적불건강 예방 및 건강증진에 대한 재고.” 『교정담론』 7: 193-224.

13.

노상우. 2010. “청소년 자살문제와 죽음준비교육.” 『교육발전연구』 26(1): 5-26.

14.

문영희. 2007. “비행청소년과 죽음교육의 과제.” 『교정복지연구』 10: 185-203.

15.

문현공. 2016a. “초기불교 사념(maranasati) 수행법을 적용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연구: 청소년 종교성 교육과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미간행).

16.

문현공. 2016b. “죽음 현저성(Mortality Salience)의 교육적 함의: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死念)과 관련하여.” 『종교교육학연구』 51: 153-176.

17.

박현정. 2016.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성결대학교 기독교교육전공 박사학위논문(미발행).

18.

불교교육연합회 교재편찬위원회. 2012. 『생활과 철학(고등학교)』. 서울: 조계종출판사.

19.

불교교육연합회 편저. 2002. 『종교(불교)(고등학교)』. 서울: 대한불교조계종 출판사.

20.

안양규. 2015. 『불교의 생사관과 죽음교육』. 서울: 모시는사람들.

21.

이범수. 2008. “불교의 예수재와 죽음교육.” 『정토학연구』 8: 345-386.

22.

이범수. 2016. “대학생 죽음교육 현황과 불교계 과제.” 『불교학보』 76: 385-418.

23.

이승연. 2014. “한국 청소년의 도덕교육과 마음교육: 일본의 마음교육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54: 221-246.

24.

이재영. 2004. “청소년의 죽음에 대한 의식과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19: 39-56.

25.

이필연. 2013.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미발행).

26.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5.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 (발간등록번호:11-1352000-001539-13)』.

27.

정재걸. 2008. “불교와 죽음 그리고 죽음교육.” 『동양철학연구』 55: 107-138.

28.

정재걸·이승연·이현지·백진호. 2013a. “청소년 죽음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중고등학생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1(3): 537-562.

29.

정재걸·이승연·이현지·백진호. 2014. “동양사상과 한국적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학논집』 56: 239-269.

30.

정재걸·이승연·이현지·백진호. 2015a.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 일본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 18(2): 325-356.

31.

정재걸·이승연·이현지·백진호. 2015b. “한국 청소년의 도덕교육과 죽음교육: 중고등학교 도덕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59: 441-469.

32.

정재걸·이승연·이현지·백진호·이유택. 2013b. “동양사상의 관점에서 본 독일 청소년 죽음교육의 한계와 대안.” 『사회상과 문화』 28: 171-197.

33.

지승희·김명식·오승근·김은영·이상석. 2008. 『청소년자살예방프로그램 및 개입방안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34.

차미영. 2006. 『웰 다잉을 위한 죽음의 이해』. 경기: 상상커뮤니케이션.

35.

추정완. 2008. “청소년을 위한 생명윤리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생명윤리정책연구』 2(3): 257-273.

36.

통계청. 2011. 『사망원인통계』.

37.

한숙자·박미하. 2009. “청소년 죽음준비교육을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복음과 상담』 12: 174-200.

38.

한진아. 2007.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미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