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

청도 불령사전탑의 해체와 복원

김선덕 1
Sun Duk Kim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서진문화유산보존연구소 소장
1Seojin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Co.,

© Copyright 2015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본고는 [불령사전탑 해체·보수공사 보고서]의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는 것이다. 불령사전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되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시기는 알 수 없지만 무너졌던 것을 1968년부터 비구니 최유화 스님이 대웅전을 창건하고 탑을 재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재건시 고증이 미비한 상태에서 전탑을 6층으로 재건하였고, 복원에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돌의 오염과 알칼리염류(수산화칼슘, 황산칼슘, 황산소다, 황산칼륨 등)에 의한 2차 풍화훼손이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탑의 변형된 원형을 바로잡기 위해 2008년 8월 18일부터 2009년 11월 27일까지 해체보수공사를 진행하였다.

불령사전탑의 복원을 위해 현존하는 통일신라기의 전탑과 문양이 있는 전돌에 대한 조사 및 불령사 전탑의 부재에 대한 과학적인 규명을 시도하였으며, 과학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복원에 필요한 전돌을 제작하였다. 다양한 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소성온도가 900~1,050℃ 범위로 나타났으며 전돌의 크기와 두께, 가마의 소성방식, 소성시간, 제작하는 곳의 환경 조건에 따라 제작 과정도 다르게 되고 품질도 각기 다르게 되므로 원형의 상태를 최대한 적용하기 위해 3D스캔을 통해 새로운 전돌의 제작에 적용하였다.

전 크기는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태토의 배합율을 각각 달리하여 실험제작한 결과로 얻은 수축율 14%를 확대 적용하였다.

또한 복원을 위해 탑의 형태 분석, 전의 종류 및 용척(用尺) 분석, 이음부 접합물질(접착성 무기바인더 MB, Mineral Binder) 등을 분 석하였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1960년도 이전 사진에 의하면 층수는 3층으로 되어있고 현재로서 남아있는 최고(最古)의 증빙자료로 판단하였다.

1960년대 평균키는 35세를 기준으로 약 156~158㎝이며 평균키와 정밀실측한 부재의 크기 등을 종합하여 탑의 높이 및 폭을 추정하였다.

불령사전탑의 해체보수공사는 정밀실측과 더불어 진행되었으며, 복원은 연구된 복원(안)을 기준으로 당초 해체전 전탑이 있던 장소에 복원하였다.

전돌의 정확한 적층을 위해 전탑 각 코너에 기준점을 마련하였으며, 수직으로 기준이 되는 기준틀을 세워 각 전의 높이와 줄눈의 높이를 각각 표시하였고 대각으로 기준선을 띄워 수평수직을 정확히 맞추면서 작업을 실시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disassembly and reconstruction of Bulroyngsa temple baked brick pagoda. This unique pagoda of Unified Silla Dynasty were rebuilt by Bhikkuni Youhwa Choi in 1968. Unfortunately this overall misconducting restore has been dismantled and reconstructed during 2008 and 2009.

To restore this pagoda, new highly advanced technique with 3D scanning adapted to investigate baked brick condition and so on. Through achievements of research, Bulroyngsa temple baked brick pagoda is clarified as three story pagoda. Also original location has been revealed and pagoda is moved to its original place. For the stability of baked brick pagoda, new light on adaption with highly advanced geographical and mathematical technique in pagoda construction wer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