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논문

금산사 방등계단의 가치와 위상

최태선 1
Choi Tae Sean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1JungAng Saṅgha University

© Copyright 2016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국문초록

戒란 승려가 지켜야 할 윰리적인 덕목이며, 계단이란 계를 주고 받는 공식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사분율』과 같은 초기 경전에서 정의하고 있는 신성한 의례인 수계를 위한 공간은 그 유형에 따라 다시 야외에 구축되어 구조물로 항구성을 가지는 것과, 필요 시 실내에 조성하여 의례를 진행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실제, 동북아시아에서 야외계단의 형태로 남아있는 사례는 많지않으며, 이들 구조물로서의 계단은 唐代에 道宣율사가 동북아시아 계단의 形制를 규범화하고 저술한 『關中創立戒壇圖經』(이하 戒壇圖經)은 계단의 형제를 기본으로 조성되고 있다.

국내의 야외계단 중 도선의 『계단도경』의 형제를 기본으로 조성된 사례는 통도사와 금산사의 사례가 대표적으로 남아 있다.

형제의 구조는 두 계단이 유사하지만, 내용적인 의미에서는 통도사는 『금강계단』으로 통칭되고, 금산사는 『방등계단』이라 칭해지고 있다.

이 글은 우선 그동안 제대로 보고된 바 없는 구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금산사 계단을 외형적으로 분석하고 도선의 『방등계단』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람에서 계단이 위치하는 공간성과 승려공간에서의 위계적인 부분을 밝혀내 보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그간 개별적으로 영역으로 다루어져 오던 구조적 연구와 사상적 접근을 결합해 보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계단이라는 구조물이 사상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그 명칭도 다르게 부여되고 있음을 규명하고 자 하였다.

Abstract

To practice precept is ethical virtue issue for Buddhist monks and Square Precept Platform is proper rite for conferment of precepts. In early sutras like Dharmagupta-vinaya(四分律), Space for performing ceremony of conferment is divided into exterior construction and interior platform fitting variable situation.

Open-air precept platforms in Far Eastern Asia were not very popular. All these platforms follow standard form from the book ‘Illustarated Scripture concerning the erection of the Ordination Platform in the Guanzhong Region(關中創立戒壇圖經)’ by Daxuan(道宣), Tang dynasty.

Domestic examples of exterior construction following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are Tongdosa Temple’s and geumsansa temple’s. Both construction structure are similar but in another contexts.. Tongdosa has ‘Diamond Precept Platform’ name while Geumsansa has simple ‘Square Precept Platform’.

This study focuses on the external architectural approach to the constructural viewpoint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Also very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comparing with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has been figured it out.

Through this study, it turns out the importance of the Ordination Platform location in the monastery. Also it has hierarchic spatial characteristic in the monastic life. Combined study between architectural approach and philosophical approach show this ordination platform has significant name change in different eras.

Keywords: 계단; 경전의범; 계단도경; 노지계단; 수계의식